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인터뷰] 홍익표 "이낙연-이재명, 잘 조합하면 민주당 성공"



정치 일반

    [인터뷰] 홍익표 "이낙연-이재명, 잘 조합하면 민주당 성공"

    민주당 정책들, 방향은 맞으나…
    20년 장기 집권? 가능하도록 노력
    등돌린 20대? 상대적 박탈감 때문
    강경화 남편, 공직 가족 답지 않아
    보궐 후보 내는게 책임지는 자세
    대권? 이낙연-이재명 쟁쟁한 후보

    ■ 방송 :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FM 98.1 (07:2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홍익표(더불어민주당 민주연구원장)

    추석 민심을 ‘민심의 용광로다’ 우리가 이렇게 표현을 하는데 사실 이번 추석은 거의 모이지 못했기 때문에 민심이 크게 달라진 건 없어 보이죠. 다만 추석 직전에 해양수산부 공무원 피격사건이 있었고요. 또 강경화 장관 남편의 해외여행도 논란이 되면서 여당에서는 계속 수습해야 하는 악재들이 터지고 있습니다. 이렇게 집권여당의 후반기는 늘 쉽지가 않습니다. 그래서 당의 정책을 끌고 가는 브레인의 역할은 참 중요한데요. 민주당의 브레인은 민주연구원이죠. 원장이 새로 취임을 했습니다. 바로 홍익표 의원. 오늘 스튜디오에 모셔보죠. 어서 오세요, 홍 원장님.

    ◆ 홍익표> 안녕하세요.

    ◇ 김현정> 축하드립니다.

    ◆ 홍익표> 네, 일단 축하를 받아야 되겠지만 부담도 크고 축하 받기에는 굉장히 부담스러운 자리입니다.

    ◇ 김현정> 사실은 감투라는 게 반장을 해도 쓰는 사람은 부담스러운 건데. 하물며 집권여당의 싱크탱크의 원장이 되셨어요. 굉장히 부담스러우실 것 같은데, 감투가 무거울 것 같아요.

    ◆ 홍익표> 네.

    ◇ 김현정> 민주연구원이 당의 싱크탱크다, 브레인이다, 이렇게는 들어보셨지만 정확히는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는 모르실 수도 있습니다. 어떤 일 하십니까?

    ◆ 홍익표> 선관위가 정당법에 있어서 각 정당은 정책연구소를 두게 돼 있습니다. 그래서 우리 당 같은 경우는 민주연구소고요. 국민의힘 같은 경우는 여의도연구소를 두고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당이 정쟁보다는 정책 대결을 하라는 취지에서 국가에서 어떤 정당에 지원할 때 일정 비율의 금액을 정당연구소에 지원하게 의무적으로 할당하게 돼 있고요. 이러한 지원을 바탕으로 해서 정책연구소, 우리 민주연구원에서 하는 일은 크게 보면 한 세 가지로 나눠져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정책개발이죠. 정책개발이 당에는 정책위원회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정책위 수석부의장도 했었는데 그 경우는 주로 국회에서 현안, 법안이나 또는 당면 과제를 중심으로 다뤄진다면 정책연구소에서는 조금 더 호흡을 길게 중장기 과제를 해서 준비한다는 차원에서 성격이 차이가 있고요. 두 번째는 네트워크사업을 합니다. 네트워크라는 게 국내 여러 싱크탱크 기관 있지 않습니까? 기업의 연구소는 물론이고 시민사회 쪽, 각 시도 광역자치단체의 연구소 등, 해외의 일부 연구소하고도 네트워크를 해서 국제 교류를 하고 있고요. 세 번째는 여의도연구소도 그렇고, 저희도 여론조사를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여론조사, 그렇죠.

    ◆ 홍익표> 당에서도 여론조사를 하는데, 당 안에서는 지지율 조사를 한다면 저희는 정책에 대한 여론조사를 합니다. 우리 정책에 대한 평가, 정책 수행과정에 대한 어떤 문제점 이런 것들을 심층적 조사를 통해서 정책 방향을 개선한다거나 개발하는 연구를 주로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엄청 바쁘시겠어요. 현직으로 의원도 하시면서 원장까지. 한 20일 되셨죠?

    ◆ 홍익표> 이제 한 20일 조금 넘어가고 있습니다.

    ◇ 김현정> 말씀을 들어보니까 조금 더 당을 객관적으로 보고 냉정하고 냉철하게 분석해야 되는 그런 임무를 띠신 것 같아요. 맞죠?

    ◆ 홍익표> 그렇습니다.

    ◇ 김현정> 20일 좀 넘게 분석을 해 보니 지금 민주당에 닥친 가장 큰 숙제, 문제는 뭐라고 보세요?

    ◆ 홍익표> 여러 가지가 있을 텐요. 이미 제가 민주연구원에 가보니까 여론조사를 해 놓은 게 있더라고요. 그 여론조사를 보면서 느꼈던 것은 국민들께서 우리 정부 여당의 정책 방향이나 어떤 목표에 대해서는 상당히 지지를 하고 계세요. 상대적으로. 그러나 반면에 문제점을 지적하시는 게 수행 과정에 대한 평가가 그렇게 좋지 않습니다.

    ◇ 김현정> 목표는 나도 동의한다. 그런데 가는 과정, 방법, 행로에는 별로 동의하기 어렵다?

    ◆ 홍익표> 평가가 상대적으로 낮은 이유를 제가 봤더니 아마 가는 과정이 너무 거칠거나 또는 두 번째는 좀 더 세련되지 못한, 그러니까 예를 들면 이런 거죠. 당정청이 정책과제를 하나 발표를 했어요. 그런데 발표되고 나서 야당이나 여론에서 문제제기를 하면 자꾸 보완하고 수습하고 이런 과정들이 다소 조금 프로답지 못한, 그러니까 준비되지 못한 것 아니냐 이런 불안감을 드리는 것 같아요. 그렇기 때문에 우리가 준비해야 될 것은 어떤 정책을 발표하기 이전에 먼저 시장에서 평가를 받고 준비를 잘해서 그 정책이 목표가 좋다 하더라도 방법에 있어서 신뢰감을 주는 게 정책의 신뢰도에 굉장히 중요하다, 이런 평가가 하나 있고요.

    두 번째는 정책의 구체성과 목표가 우리가 마이크로 타깃팅이라는 얘기가 있지 않습니까? 어떤 정책을 크게 내는 게 아니라 미세하게 구체적으로 누구를 대상으로 효과는 어떤 것인가에 대해서 좀 더 정확하게 타산하고 정책을 발표하고 추진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것들이 저희가 정책여론조사를 해 보니까 나왔기 때문에. 앞으로 보완해야 될 것은 정책의 목표도 물론 더 우리가 수정해야 될 필요가 있겠지만 정책 수행 과정과 디테일한 부분에 대해서 조정이 더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렇게 분석을 하셨군요. 이해찬 전 대표가 대표직 내려놓으면서 20년 장기집권론 얘기하셨잖아요. 분석해보니, 어떻게 가능하겠던가요?

    ◆ 홍익표> 글쎄요, 20년 장기집권이라는 게 원론적인 목표인 거고요. 결국은 하나하나 문제를 풀어가면서 결론으로써 국민으로부터 선택받는 것이기 때문에 저는 가능하냐, 안 하냐가 아니라 그렇게 만드는 게 저희 과제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지금 말씀하신 거친 부분들, 잘 조정해서 가능하게 만들어보는 게 내 일이다?

    ◆ 홍익표> 그렇습니다.

    ◇ 김현정> 대답을 잘하시는데요. 그게 내 일이다라고 하신 홍익표 민주연구원장. 객관적인 데이터가 아마 여론조사가 되는 것이기 때문에 여론조사도 많이 하시는 거일 거예요. 그런데 최근에 각종 여론조사에서 공통적으로 눈에 띄는 게 20대 지지율의 하락입니다.

    20대들이 계속해서 외치는 게 공정의 문제입니다. 민주당에서는 오해다라고 얘기를 하지만 오해냐 아니냐와는 별개로 20대들이 지금 그렇게 느끼고 있다는 얘기잖아요. 조국 전 장관 때도 그랬고, 추미애 장관 아들 휴가 관련 의혹 때도, 최근 강경화 장관 남편 문제도 그렇고. 이게 불법이냐 합법이냐 위법이냐 아니냐, 이걸 떠나서 심각한 박탈감을 20대들이 느끼고 있다. 어떻게 보세요?

    더불어민주당 김태년 원내대표가 지난 9월 29일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윤창원기자

     



    ◆ 홍익표> 몇 가지 살펴봐야 될 게 있는데요. 먼저 현재 우리 당의 전체적인 지지율에 있어서 가장 큰 문제는 20대의 지지율이 조금 떨어진 건 사실인데, 그렇다고 야당의 지지율이 올라간 것도 아니에요.

    ◇ 김현정> 여당의 지지를 거둬들였다고 해서 20대가 야당으로 간 것도 아니다?

    ◆ 홍익표> 그렇습니다. 여전히 단순 지지율을 보면 우리 당이 지지율이 높은 편이고요. 문제는 40% 이상 가까이 되는 이상으로 되는 20대의 정치적 무관심, 무당층, 이게 굉장히 높은 문제인데. 결국 기존 정치권이 20대를 정치권에서 내몰았다, 그러니까 정치권에 끌어들이지 못하고 밖으로 돌게 만든 게 가장 큰 책임이 있다, 저는 이 생각을 하고요.

    결국 20대가 정치에 관심을 갖고 자기 의사를 적극적으로 표명하게 하는 게 첫 번째 우리 주요 정당들이 해야 될 과제라고 생각되고요. 두 번째 20대의 문제를 풀어가는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이게 좀 다른 게요. 예를 들면 40대 이상은 성평등 중요하다고 하면서 불이익을 보고 있냐고 하면 남성들이 우리가 이득을 봤다고 생각을 해요. 그런데 20대의 경우 양성평등이 필요하다고 느끼는데 도리어 반대로 여성과 남성이 한 80% 가까이가 우리가 불이익을 보고 있다.

    ◇ 김현정> 서로. 여성은 여성대로, 남성은 남성대로.

    ◆ 홍익표> 우리 사회에서 여성은 여성대로 불이익을 보고 있다, 남성은 남성대로 도리어 우리가 여성한테 역차별을 갖고 있는 여론조사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결국은 20대에서 느끼는 것은 상대적 박탈감과 피해의식이 크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니까 그것은 젠더로 봤을 때는 도리어 남성은 여성에게, 여성은 남성에게, 서로 우리가 피해를 보고 있다고 생각을 하고 세대로 보면 기성세대. 즉 40대 이상의 기성세대에 비해서 우리는 취업 또는 부동산 등 이런 자산 문제에 있어서 상대적으로 우리나라는 불이익을 보고 있다, 이런 생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이런 부분들을 우리가 실질적으로 해소해나가야 되는데.

    한 가지 여론조사 내용을 보면 20대 남녀가 공히 관심 있는 것은 경제 문제입니다. 일자리 문제하고 부동산 문제가 가장 핵심적인 그들의 삶의 기반이죠. 일자리와 삶의 터전을 어떻게 만들어주느냐가 가장 핵심적인 거고 20대 여성 같은 경우는 약간 특수하게 우리 사회의 특성인데 안전문제. 이 안전문제에 대한 관심이 굉장히 높습니다. 즉 그만큼 20대 여성들 중심으로 우리 사회에 어떤 성폭력이나 성희롱 또는 어떤 디지털 성범죄 등 이런 문제에 대해서 불안감을 갖고 있기 때문에 일자리, 부동산 관련 문제 그다음에 이 사회적 안전 문제를 해소해 주는 게 저는 20대 남성과 여성이 갖고 있는 갖고 있는 피해의식을 해소하고 다시 정치에 관심을 갖게 만드는 거라고 생각합니다.

    ◇ 김현정> 그런 피해의식과 세상에 대한 불만들, 안 좋은 느낌들을 가지고 있는데다가 최근 집권여당에서 터지는 일들이 그런 느낌을 좀 더 강화하고 있는 것 아닌가. 예를 들어 강경화 장관 남편 이일병 교수의 일에 대해서는 어떻게 보세요?

    ◆ 홍익표> 그런 얘기들 국회의원들은 많이 하는데요. 공인의 가족은 어항 속의 금붕어와 같다는 얘기를 합니다. 예를 들면 제 가족들이나 또는 저뿐만 아니라 많은 분들의 가족들이 시장에 가서 장을 볼 때 물건을 선택하지 못합니다.

    ◇ 김현정> 왜요?

    ◆ 홍익표> 예를 들면 좋은 것만 이렇게 선택해서 담았다고 하면 또 말 나올까 봐 예를 들면 과일이나 뭘 살 때 그냥 돈 1만원을 주고 1만원어치 담아주세요.

    ◇ 김현정> 그렇게까지 해야 되나요?

    ◆ 홍익표> 그만큼 우리가 스스로의 삶을, 공인의 가족이라는 것 때문에 사실은 가끔 저도 그런 얘기를 듣는데. 공인이 된 사람은 그래도 좀 나은데 공인의 가족은 굉장히 어떤 삶의 불편함들이 있어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