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KAI 소형무장헬기(LAH)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



경남

    KAI 소형무장헬기(LAH)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

    LAH 군 작전운용성능 충족 확인, 양산 착수를 위한 기반 마련
    2022년 말 LAH 개발 완료예정

    LAH 공대지마사일 시험. (사진=KAI 제공)

     

    한국항공우주산업㈜, KAI가 소형무장헬기(LAH) 체계개발사업에 착수한 지 5년 6개월 만에 방위사업청으로부터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을 받았다.

    LAH는 주 임무인 적 탱크격멸은 물론 공중강습부대 엄호, 위력수색 등 다양한 임무가 가능하도록 국산 공대지미사일(AGM) 천검, 20mm 기관총, 70mm 로켓탄을 탑재한 무장헬기다.

    '잠정 전투용 적합' 판정이란 항공기처럼 개발에서 생산에 이르기까지 장시간 소요되는 경우 군 전력화 일정 등을 고려해 연구개발 종료 전 최초양산 착수를 위한 중간 의사결정 절차다. 이후 후속 시험평가를 실시해 '전투용 적합' 여부를 최종 판정한다.

    이번 판정 획득으로 KAI는 LAH에 대한 주요 개발 요구도와 군 요구사항을 충족해 개발이 성공적으로 진행되고 있음을 인정받았다. 최초양산을 위한 기반도 마련하게 됐다.

    국산 무장통합 기술이 적용된 LAH. (사진=KAI 제공)

     

    KAI는 지난 2015년 6월 LAH 개발에 착수한 이래 2017년 11월 설계를 마치고 지난해 7월 초도비행에 성공했으며 올해 8월 말까지 초도 시험평가를 진행했다. KAI는 LAH 시제기 3대를 활용해 최대순항속도, 항속시간, 수직상승률, 제자리 비행능력, 강풍하 운용능력 등 850여 시간 동안 3600여 개 조건에서 비행시험을 수행했다.

    지난 9월부터 KAI는 공대지미사일과 터렛건 발사시험 등 LAH 무장운용 능력과 MWR(미사일 경보레이더), RWR(레이더 경보수신기)와 같은 생존장비 성능을 집중적으로 검증하는 후속 시험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KAI는 2022년 6월까지 4천여 개 항목을 추가 입증할 계획이다. LAH 후속 시험평가가 완료되면 같은 해 8월 전투용 적합판정을 획득하고 2022년 말 LAH 개발을 완료하게 된다.

    KAI 관계자는 "중형급 기동헬기 수리온에 이어 LAH 개발을 통해 고난이도의 무장통합기술을 확보하는 계기가 됐다"며 "군 전력 강화에 기여하기 위해 철저한 후속 시험평가로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라고 말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