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명수비대에 나포 후 이란항 향하는 우리나라 선박. 연합뉴스
우리나라 선박이 호르무즈 해협 근처에서 이란군에 나포된 것과 관련해 이란이 미국에 메시지를 보내기 위해 한국을 인질로 삼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마크 피츠패트릭 전 미국 국무부 비확산 담당 부차관보는 5일(현지시간) VOA(미국의 소리)와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 배경에 대해 "이란이 미국에 2015년 체결됐던 이란 핵 합의 '포괄적 공동행동계획(JCPOA)'에 복귀할 것을 요구하는 강한 신호를 보내려고 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그러면서 "이란은 한국 선박 억류 뿐 아니라 농도 20% 우라늄의 생산을 재개하겠다며 강경하게 나오고 있다"며 "이 때문에 한국이 진퇴양난의 불행한 위치에 놓이게 됐다"고 설명했다.
로버트 아인혼 전 국무부 비확산·군축담당 특보도 이 매체와 인터뷰에서 이번 사건은 "한국 뿐 아니라 미국에도 메시지를 보내기 위한 것"이라며 "이란은 미국의 제재를 약화시키고 신임 바이든 행정부가 외교에 관여하고 제재를 해제하도록 부추기기 위해 더 강경하게 나올 준비가 돼 있다는 신호를 보내고 있다"고 해석했다.
게리 세이모어 전 백악관 국가안보회의 대량살상무기 조정관은 이 방송과 통화에서 "한국 내 동결된 이란 자금을 놓고 두 나라의 협상이 진행되고 있는 상황에서 이란이 한국을 추가로 압박하려 했을 것"이라고 분석했다.
그는 이어 "이란이 지난해에도 영국 선박을 상대로 똑같은 행동을 했다"며, "이는 북한이 보이는 것과 비슷한 협박과 인질을 이용한 전략"이라고 지적했다.
하지만 이들 전문가들은 이 같은 이란의 극단적인 행위가 오히려 미국 내에 반 이란 여론을 조성해 조 바이든 행정부의 입지를 좁힐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대통령이 되면 미국이 이란 핵 합의에 복귀할 것이라고 했던 바이든 당선인에게 이란 문제를 새롭게 접근하도록 숙제를 안긴 셈이 됐다는 것이다.
앞서 미국은 지난 2015년 중국, 러시아, 영국, 프랑스, 독일 등과 함께 이란을 상대로 이란 핵 합의(JCPOA)에 공식 합의했으나 2018년 트럼프 행정부가 이 합의에서 탈퇴하고 말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