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채권자 동의 필수인 'P플랜'만 남은 쌍용차

기업/산업

    채권자 동의 필수인 'P플랜'만 남은 쌍용차

    쌍용-산은-마힌드라-HAAH, 4자간 협상에서 마힌드라 빠져
    감자 후 HAAH오토모티브 유상증자 통해 2700억 투자, 지분 51% 확보
    유동성 위기 털어내기엔 적은 액수…산은, 상거래 채권자 동의 '불투명'

    연합뉴스

     

    유동성 위기에 빠진 쌍용자동차 회생 해법이 쉽사리 도출되지 않고 있다.

    29일 어음 만기가 돌아온 상황에서 전날 가까스로 P플랜 카드에 대한 협력업체들의 동의를 받아냈다. P플랜은 프리패키지드 플랜(Pre-packaged Plan)으로 채무자나 채권자가 회생 절차 개시 전까지 사전회생계획안을 제출하고 그에 따라 법원의 심리·결의를 통해 인가를 받는 방식이다.

    미리 회생 계획안을 마련해 놓은 뒤 법정관리에 들어가기 때문에 통상적인 회생 절차보다 기간을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채권자의 동의를 구해야 하기 때문에 성사 여부가 불투명하다.

    P플랜에 들어가기에 앞서 쌍용차는 기존 대주주인 인도 마힌드라와 산업은행, 새 인수 희망자인 미국 HAAH오토모티브 간 4자 협상을 진행했다. 이 과정에서 마힌드라의 2대 주주로 남길 원한 HAAH의 요구를 마힌드라가 거절해 협의 틀이 깨졌다.

    남은 3자 간 협상 과정에서 P플랜 카드가 나왔다. 이 안에 HAAH와 쌍용차 협력업체들을 대표하는 비상대책위원회가 동의했다.

    쌍용차의 P플랜은 감자로 마힌드라 지분율을 낮추고 HAAH오토모티브가 2억 5000만달러(약 27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를 통해 대주주(51%)로 올라서는 내용이 담긴 것으로 알려졌다. 마힌드라는 2011년 쌍용차를 인수해 현재 75%의 지분을 갖고 있다.

    법원이 채권자협의회를 통해 감자 비율을 정하고 유상증자 후 HAAH오토모티브가 대주주가 되면 마힌드라의 손해는 불가피해진다.

    연합뉴스

     

    P플랜에 들어가려면 채무자 부채의 절반 이상을 가진 채권자가 동의해야 한다는 전제 조건이 있다. 쌍용차 부채는 1조원가량으로 상거래 채권자가 60%, 산은 20%, 외국계 금융기관 등 다른 채권자가 20%를 차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상거래 채권자 중 중소업체들은 쌍용과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동의할 수밖에 없지만, 대기업 부품업체가 동의할지 미지수이다.

    P플랜마저 무산되면 쌍용차의 파산이 불가피하다는 점에서 정부가 대기업 협력업체 설득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쌍용차는 임직원들의 1~2월분 임금 50%를 지급 유예하며 자재 대금 납부를 추진하는 등 자구 노력을 하고 있다.

    산은의 입장 역시 P플랜 성사의 주요 변수다. 산은은 쌍용차의 미래 사업성이 담보돼야 회생 계획안을 받을 수 있다는 입장이다.

    산은은 흑자 전환 전 쟁의행위 금지, 단체협약 유효기간 3년 연장 등의 조건을 내건 바 있다.

    쌍용 노조가 산은의 조건을 받아들이고, 대기업 채권자을 설득해야 P플랜이 실제 가동될 수 있는 셈이다.

    P플랜 이후 HAAH가 대주주 지위가 되더라도 쌍용차가 실제로 회생할 수 있을지 여부도 확실치 않다. 채무인 1조원을 넘어 개발비 등 쌍용차의 회생을 위해 필요한 금액이 있는 반면, HAAH의 투자 규모(약 2700억원)은 너무도 적은 금액이다.

    쌍용차로선 회생까지 첩첩산중을 지나야 하는 처지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