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서욱 "北 탄도미사일 사거리 600km"…'음영구역' 영향

국방/외교

    서욱 "北 탄도미사일 사거리 600km"…'음영구역' 영향

    지난달 25일 북한이 발사한 개량형 탄도미사일
    비행거리 합참 '450km' 북한 '600km' 각각 발표
    지구 둥글기 때문에 먼 곳 저고도에서 음영구역 생겨
    풀업 기동과 음영구역 영향 인정…북한 발표가 사실이었던 셈

    서욱 국방부 장관이 28일 국회에서 열린 국방위원회 전체회의에서 의원들의 질문에 답변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

     

    서욱 국방부 장관은 북한이 지난달 25일 발사한 탄도미사일의 사거리를 뒤늦게 600km 정도라고 판단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이는 당시 북한의 공식 발표 내용과 일치한다.

    서 장관은 이날 국회 국방위 전체회의에서 '사거리와 제원에 대한 분석이 끝났나'라는 국민의힘 윤주경 의원의 질의에 "한미 간 분석을 했는데 조금 차이가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당시 합동참모본부는 오전 7시 6분과 25분쯤 북한 함경남도 함주 일대에서 동해상으로 발사된 단거리 미사일 2발을 포착했다며 비행거리 약 450km, 고도 60km로 탐지했다고 밝혔다.

    그런데 다음 날 북한이 이를 발표하며 "시험발사한 2기의 신형전술유도탄은 조선동해상 600km 수역의 설정된 목표를 정확히 타격하였다"고 한 점이 문제가 됐다. 군이 초기 정보에 의해 탐지한 비행거리와 150km 정도 차이가 나기 때문이다.

    탄도미사일은 발사한 뒤 고도를 올리는 '상승', 안정적인 고도를 유지하며 목표를 향해 날아가는 '중간', 본격적으로 목표를 노리며 하강하는 '종말'단계로 나뉜다.

    북한이 발사한 미사일은 보통 지상에 배치된 그린파인 레이더와 해군 이지스함의 레이더를 통해 포착된다. 그런데 실제 발사 지점이나 착탄 지점이 멀리 떨어져 있을 경우에는, 지구가 둥글다는 특성 때문에 일정 고도 이하에서 미사일 탐지가 제대로 되지 않는 '음영구역'이 생기게 된다.

    일각에서는 이 미사일이 종말단계에서 레이더 탐지가 어려운 저고도로 들어간 뒤 수평비행을 하다가 갑자기 솟구치는 풀업(pull-up, 하강단계 상승비행) 기동을 했고, 군이 이를 탐지하지 못한 것 아니냐고 추측했다.

    서 장관은 해당 추측이 사실이라고 인정하며 "(북한이 탄도미사일을) 동해 쪽으로 발사할 경우 우리 탐지 자산으로는 아래쪽 부분이 잘 안 보인다"며 "풀업 기동을 해 사거리가 조금 더 나갔다"고 설명했다.

    풀업 기동은 러시아제 이스칸데르와 북한이 이를 참고해 만든 이른바 '북한판 이스칸데르' KN-23의 특징이며, 지난달 25일 쏜 탄도미사일도 지난 1월 8차 노동당 대회 기념 열병식에서 등장한 KN-23 개량형으로 추정된다. 북한도 "저고도 활공도약형 비행방식의 변칙적인 궤도특성 역시 재확증하였다"며 이를 강조하기도 했다.

    서 장관은 '북한이 지난 1월 열병식에서 공개한 그 미사일인가'라는 윤 의원의 질문에 "그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답변했다. 국방부는 업무보고에서 이 미사일을 '개량형 단거리 탄도미사일'이라고 명시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