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 모습. 연합뉴스
지난달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기준금리를 동결했지만 회의 과정에서 상당수 위원들이 기준금리 점진적 정상화 필요성을 언급해 향후 금리인상 시기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한은이 15일 공개한 금통위 의사록(5월 27일 개최)에 따르면 한 위원은 먼저 경제주체들의 위험선호 경향과 레버리지(차입투자) 증가를 지적했다.
그러면서 "경제 회복세가 확산됨에 따라 금리 수준의 점진적 정상화는 이런 금융 불균형 심화를 차단하고, 미래 금융 불안정의 소지를 줄이기 위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정해 나가는 것이 경제회복세에 다소 부정적 영향을 끼칠 수도 있지만, 주요국들의 강한 경제 회복세, 국제 금융시장 안정세 등을 고려할 때 부정적 영향은 상당 부분 완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른 위원도 "신용(빚) 증가와 자산 가격 상승 간 상호작용이 과도할 경우 금융 불균형 누적 위험으로 이어지면서 미래의 금융안정이나 경제성장의 지속가능성을 저해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어 "최근 대내외 경기회복과 인플레이션 기대심리가 레버리지의 추가 확대 유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관련 리스크에 대한 통화정책적 고려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향후 실물경기의 추가 확대 여부, 물가 경로 추이 등을 주시하면서 적절한 시점에 통화정책 완화 정도를 조금씩 조정해 나가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금통위 본회의를 주재하는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연합뉴스
또 다른 위원 역시 "최근의 실물·금융 상황과 앞으로의 경기 및 물가 흐름을 감안할 때 코로나19 충격에 대응한 통화정책의 완화적 기조를 다소 조정해 나가는 것을 고민할 시점"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경기 회복의 불확실성 등을 근거로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바꾸는데 신중한 입장을 내비친 위원들도 있었다.
한 위원은 "최근 실물경제 여건이 호전돼 가고 있지만, 아직까지는 코로나19와 백신 보급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어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를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한다"고 주장했다.
다른 위원은 "우리 경제는 수출과 투자를 중심으로 확장세를 이어가면서 인플레이션(물가상승)도 하방 압력에서 벗어났으나, 대유행 이전의 잠재성장 추세로 되돌아가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소요될 것"으로 예상했다.
또 "국내총생산의 증가가 가계소득·임금·고용·소비의 확장세로 이어지는 데에도 적지 않은 시간이 소요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인플레이션이 하방 압력에서 벗어났다고 하더라도 한은이 중기적 시계에서 달성하고자 하는 목표 수준에 미달하는 수준인데다, 경기확장의 탄력을 선제적으로 제어할 뚜렷한 이유가 없는 만큼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0.50%로 동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앞서 이주열 한은 총재는 "우리 경제가 견실한 회복세를 지속할 것으로 예상된다면 현재의 완화적 통화정책을 향후 적절한 시점부터 질서있게 정상화해 나가야 한다"고 밝혔다.
금융시장에서는 오는 10월 한은 금통위가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이후 내년 1월 또는 2월 추가로 0.25%포인트 인상이 뒤따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