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주요 7개국(G7)정상회의 참석 등 총 6박 8일 간의 해외 순방 일정을 마치고 18일 귀국한다.
문 대통령은 17일 오후(현지시간) 스페인 바르셀로나 엘프라트 공항을 떠나 귀국길에 올랐다.
이번 순방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미정상회담에 이은 두 번째 해외 일정이었다. G7 정상회의에 2년 연속 초청받아, 세계 주요국으로서의 입지를 다져가는 기회가 됐다는 평가다.
오스트리아를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숙 여사가 지난 13일 오후(현지시간) 비엔나국제공항에 도착, 공군 1호기에서 환영인사들에게 손을 흔들고 있다. 연합뉴스
특히 코로나19 사태를 계기로 포스트 코로나 시대 한국의 국제적 역할을 확인하는 계기가 됐다는 분석이 나온다. 문 대통령은 G7 일정을 소화하면서 기회가 될 때마다 한국의 코로나 백신 국제 허브 기능을 강조했다.이번 순방 과정에서 아스트라제네카·큐어백 등 다국적 제약회사 경영진과 접촉하기도 했다.
문 대통령이 국빈 방문한 오스트리아와 스페인은 코로나19 사태 이후 한국 정상을 가장 먼저 초청했다고 한다. 그만큼 한국 산업과의 발빠른 연계 필요성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G7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2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 양자회담장 앞에서 참가국 정상들과 기념사진을 촬영한 후 이동하고 있다. 연합뉴스
이번 정상 간 만남을 통해 오스트리아와 스페인 모두 '전략적 동반자 관계'로 격상됐다. 오스트리아에서는 수소 분야와 5G(5세대 통신) 분야 협력을, 스페인 방문 중에는 신재생에너지를 비롯한 저탄소 발전 분야, 4차 산업혁명, 스타트업 분야 협력을 논의하기도 했다. 관광 산업과 문화 교류 증진도 논의됐다.
이번 일정으로 코로나로 얼어붙었던 국제 대면외교 복귀 신호탄을 쏘아올렸다는 평가도 있어, 하반기 문 대통령의 외교 일정은 더욱 빡빡해질 전망이다.
스페인을 국빈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 내외와 펠리페 6세 국왕 내외가 지난 15일(현지시각) 스페인 마드리드 왕궁에서 국빈만찬장으로 이동하는 모습. 연합뉴스
하지만 아쉬움도 남는다. 이번 G7 참석으로 일본과의 관계 개선 계기를 마련하려 했지만, 불발됐기 때문이다. G7 회의 첫 날 일본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총리와의 약식 회동이 예정돼 있었지만, 일본 측이 우리 '독도방어훈련'을 트집잡아 만남을 취소한 것으로 알려졌다.
문 대통령은 SNS를 통해 "스가 총리와의 첫 대면은 한일관계에서 새로운 시작이 될 수 있는 소중한 시간이었다"면서도 "회담으로 이어지지 못한 것을 아쉽게 생각한다"고 밝히기도 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도 스페인 현지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번 현장에서 (스가 총리와)인사를 나눈 것 외에 회동이 이뤄지지 못한 점이 아쉽다"며 "다만 우리 정부로서는 앞으로도 한일관계 개선과 미래지향적 발전을 위해 열린 자세로 일본 측과 대화 협의 지속해 나가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G7 정상회의 참석차 영국을 방문한 문재인 대통령이 지난 13일(현지시간) 영국 콘월 카비스베이에서 열린 '기후변화 및 환경' 방안을 다룰 확대회의 3세션에 영국 보리스 존슨 총리, 일본 스가 요시히데 총리와 참석해 있다. 연합뉴스
이에 따라 문 대통령은 귀국 뒤에도 도쿄 올림픽 참석 등 대 일본 관계 개선 문제를 고민해나갈 것으로 예상된다. 양국 국내외 문제가 복잡하게 얽혀 있는 만큼 문 대통령으로서도 한일 관계 회복은 임기말까지 골치를 앓을 것으로 보인다.
한편, 귀국 뒤 문 대통령으로선 해외 무대처럼 녹록치 않은 국내 정치에 복귀하게 됐다. 우선 이르면 이번달 안에 야당과의 여야정협의체를 재가동하는 방안을 논의할 것으로 보인다.
청와대 이철희 정무수석비서관은 17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출연해 여야정 상설협의체에 대해 "빠르면 6월 안에 열릴 수 있을 것이다. 최대한 빨리 하려고 한다"고 언급했다. 국민의힘 이준석 신임 대표가 여야정협의체 재가동에 호응한 만큼 시간을 끌 이유가 없다는 판단으로 보인다.
문 대통령은 지난달 26일에도 한미정상회담 성과를 설명하기 위해 5당 대표와 만난 자리에서도 협의체 중단에 대한 아쉬움을 표하며, 여야정협의체 재가동을 제안한 적 있다. 여야정 협의체는 앞서 지난 2018년 문재인 대통령과 여야 5당 원내대표의 합의로 만들어진 협치 기구로 당시 분기별로 1회 개최하기로 했다. 그러나 첫 번째 회의가 열린 뒤 다시 열리지 못했다.
문재인 대통령이 여야 대표들과 지난달 26일 청와대에서 열린 오찬 간담회에서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왼쪽부터 열린민주당 최강욱, 정의당 여영국, 더불어민주당 송영길 대표, 문 대통령, 국민의힘 김기현 대표 권한대행, 국민의당 안철수 대표. 연합뉴스
하지만 여야정협의체가 막상 열린다 해도 문 대통령으로선 쉽지만은 않을 전망이다. 이 신임 당대표 당선으로 국민의힘의 지지세가 상승세인 가운데, 야당과의 협의의 장을 유지하고 이끌어나가야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임기가 1년도 채 남지 않아, 그 동력을 살리기 어렵다는 점이다.
정부는 코로나19 극복을 위한 야당의 협조와 부동산 정책, 대북 정책 등에 있어 협조를 구해나갈 것으로 보인다. 반면, 대선을 앞두고 있는 만큼 국민의힘은 현 정부와 각을 세울 수밖에 없어 여야정협의체가 순탄치 않을 수 있다.
이와 함께 북한의 지난 15일부터 진행중인 북한 노동당 전원회의의 결과에 따라 귀국한 문 대통령이 바빠질 수도 있다. 이 회의에서 미국의 대북정책 결과에 대한 북한의 대남, 대미 메시지가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