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초에 전세금을 올려 달라고 할 것 같아요. 너무 오르면 옮기려고 했는데 전세 시세가 너무 올랐으니까…어떻게 하든 추가 대출은 필요하거든요. 그런데 계속 (이자) 오를 수 있다고 하고 안될 수도 있다고 하니까 지금부터 알아보는 거죠. 미리 받을 수 있으면 받고…."스마트이미지 제공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린 지난 26일 영등포구의 한 은행 지점 앞에서 만난 A씨는 당황스럽다 못해 다급한 마음까지 들었다고 털어놨다. 전세금을 올려주든, 전세를 옮기든 목돈이 필요한 상황이라 대출을 받을 계획이었는데, 가계 대출 문이 좁아지는 데다가 기준금리까지 올린다 하니 조바심이 났다. A씨는 대출을 미리 받아둬야겠다는 생각에 은행 문을 두드렸다.
은행들이 가계 대출 죄기에 나서고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올리자, 실수요자들을 중심으로 '패닉 대출'이 이어지고 있다.
금융당국이 가계대출 증가세를 잡기 위해 연일 규제 강화를 예고하고 나서자 시중은행들도 자체 관리에 들어갔다. NH농협은행이 오는 11월까지 신규 주택담보대출(주담대)를 전면 중단하기로 결정한데 이어 우리은행과 SC제일은행도 전세자금대출을 일시 중단한 상태다.
갑작스러운 대출 축소에 실수요자들은 황당함을 호소하고 있다. A씨는 "큰 욕심을 내고 사는 것도 아닌데, 전세금 대출 걱정마저 해야 한다니 속상하고 화가 난다"며 한숨을 쉬었다.
신용대출 역시 한도가 줄기 전에 미리 대출을 받으려는 수요가 몰리고 있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는 9월 중으로 금융당국의 권고를 받아들여 실제로 신용대출을 연봉 한도까지만 내주는 규제에 나선다. 카카오뱅크도 9월 중 신용대출을 연소득 이내로 관리하는 규제를 시작할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당국은 제2금융권에도 연소득 이내 신용대출 제한을 주문했다.
이러한 당국 규제가 알려진 이후 마이너스 통장(마통) 개설은 크게 늘었다.
KB국민, 신한, 하나, 우리, NH농협 등 5대 시중은행에서 24일 하루에 개설된 마이너스 통장은 2,089개였다. 신용대출 축소 방침이 알려진 17일부터 24일까지 엿새동안 5개 시중은행에서 만들어진 마이너스통장은 총 1만 1,895개였다. 이는 이번달 첫째주와 비교하면 2배 가까이 늘어난 것이다.
지난주 마이너스 통장을 개설한 회사원 B씨는 "미리 받아둬서 나쁠 건 없다는 생각이 들었다. 다만 전에 알아봤던 이자보다 많이 올랐다. 전에는 3%대였는데 지금은 5%다. 그래도 앞으로 이자 부담이 더 많아질거라고 하니 지금이라도 받은 것이 다행"이라고 설명했다.
당국은 이런 상황에 확산 가능성은 낮다며 진화에 나섰지만 분위기는 쉽사리 가라앉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한 부동산 카페에서는 "아파트 주담대를 끼고 사려고 했는데 지금 사도 되는걸까요, 당장 떨어지는 것 아닐까요"라며 매수 시기를 점치는 글부터, "집값 못 잡고 대출이 안돼서 내 집도 못 사면 결국 나만 손해 보는 것 아니냐"며 정부에 대한 불신을 드러내는 글도 올라왔다.
연합뉴스앞서 지난 27일 고승범 금융위원회 후보자는 국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신용·전세대출 등 성격을 가리지 않고 가계대출 총량규제가 이뤄지다 보니 청년, 무주택자 등 실수요자가 피해를 보고 있다'는 지적에 "실수요자가 어려움을 겪지 않도록 세심하게 배려하면서 정책을 하겠다"고 밝혔다.
또 "총량규제를 하다 보니 실수요자가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상황에 처할 수 있을 것으로 저희도 우려하고 있다"며 "전세자금대출과 정책모기지 대출, 집단대출은 실수요 대출인데 사실 최근에 많이 늘고 있는 게 이 부분"이라고 설명했다.
한 은행권 관계자는 "당장 목돈이 필요한 실수요자에게 피해가 몰릴까봐 걱정"이라면서 "부동산 시장의 부작용을 바로잡지 못하면 궁극적으로 대출 이상수요도 줄일 수 없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