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中정부 결국 믿을 건 국유기업…헝다위기에 '소방수'로 투입

아시아/호주

    中정부 결국 믿을 건 국유기업…헝다위기에 '소방수'로 투입

    핵심요약

    헝다 559억원 이자 지급날 비핵심 자산 매각 소식 발표
    선양 성징은행 지분 국유 자산관리회사에 매각키로
    中 정부 헝다그룹 부도로 인한 후폭풍 보다는 연착륙 택한듯
    1,2차 위기 넘겼지만 헝다 지속 가능성엔 여전히 의문

    연합뉴스연합뉴스중국의 초대형 부동산개발업체 헝다그룹의 유동성 위기 해결을 위해 결국 국유기업이 긴급 소방수로 투입됐다.
     
    중국 정부가 헝다그룹 파산에 따른 관련 기업 연쇄부도와 금융 혼란, 소비자 피해보다는 국유기업을 통한 우회 지원 방식으로 유동성 위기를 연착륙시키는 카드를 꺼내 든 것으로 보인다. 
     
    헝다는 지난 23일 1400억 원이 넘는 채권 이자를 직접 지급하지 못하고 애매하게 처리하면서 시간을 번 데 이어 29일에도 4750만 달러(약 559억원)의 이자를 지불해야 했다.
     
    하지만 이날 오전 일찍 헝다가 비핵심 자산을 국유기업에 일부 매각하기로 했다는 소식이 알려지면서 또 다시 유동성 위기를 넘길 수 있었다.
     
    헝다는 증시 개장 직전 홍콩증권거래소 공시를 통해 자회사가 보유한 중국 성징은행 지분 19.93%를 99억9천300만 위안(약 1조8천300억원)에 매각하는 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헝다로부터 성징은행 인수 지분을 인수하는 곳은 국유 자산관리 회사인 선양성징 금융지주로 2016년에 헝다에 성징은행을 팔았던 바로 그 곳이다.
     
    결국 5년 만에 선징은행이 원주인에게 돌아가는 것인데, 이해 관계자들이 복잡하게 얽혀있는 헝다그룹이 엎어지도록 내버려두지 않겠다는 신호로 읽혔다.
     
    5년전 헝다에 매각됐다가 다시 원주인에게 팔리는 성징은행. 사진=차이신 캡처 5년전 헝다에 매각됐다가 다시 원주인에게 팔리는 성징은행. 사진=차이신 캡처 국유기업이 헝다의 자산을 매입하기로 했다는 호재에 힘입어 홍콩 증시에서 헝다 주식은 14.98% 급등했다. 헝다자동차도 성징은행처럼 샤오미 같은 곳에 팔릴 수 있다는 기대감에 주가가 44%나 뛰었다.
     
    블룸버그 통신은 "중국이 어려움에 빠진 부동산 개발업체에서 금융 부문으로 위험이 전이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헝다로부터 은행 지분을 매입하기 위해 개입했다"고 분석했다.
     
    그러면서 "이번 매각은 당국이 어떻게 헝다 유동성 위기의 낙진이 금융권에 끼치는 영향을 최소화하려는지를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헝다가 두 차례의 고비를 넘기긴 했지만 미래는 여전히 불투명하다. 성징은행 지분 매각 대금 1조 8천억 원을 모두 성징은행 대출 자금 상환에 쓰기로 했기 때문에 채권 이자 및 원금 상환을 위한 자금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은 상태다.
     
    다만 대형 부동산 그룹의 유동성 위기 또는 파산으로 인한 금융 불안은 좌시하지 않겠다는 중국 정부의 의지를 보여줬다는 점에서 헝다그룹은 희망의 끈을 놓지 않을 수 있게 됐다.
     
    그러나 그룹 부채가 356조원이나 되는 헝다가 지금의 몸집을 유지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도 힘을 얻고 있다.
     
    비핵심 자산을 처분해 자금을 확보하거나 일부 채권의 공식 디폴트를 선언하고 핵심인 부동산 사업의 전체 또는 일부분을 당국의 통제 하에 있는 국유기업에 넘기게 될 것이라는 관측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