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종민 기자저출산과 고령화 등의 영향으로 우리나라 핵심노동인구의 감소가 가속화할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됐다.
전국경제인연합회 산하 한국경제연구원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통계청 자료를 분석한 결과 이같이 예측됐다고 3일 밝혔다.
한경연에 따르면 우리나라 인구 중 핵심노동인구가 차지하는 비중은 2020년 45.3%로 OECD 38개국에서 두 번째로 높았으나 오는 2047년에는 31.3%로 가장 낮아질 것으로 집계됐다.
이어 오는 2060년에는 핵심노동인구의 비중이 26.9%로 OECD에서 유일하게 20%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됐다.
또 2010~2020년까지 지난 10년 동안 OECD국가에서 핵심노동인구는 연평균 0.2% 증가했으나 우리나라는 같은 기간 0.5% 감소했다.
지난해 기준 우리나라 핵심노동인구의 고용률은 75.2%로 OECD 평균인 77.3%보다 낮았다. 반면 일본은 85.9%, 독일은 84.3%, 프랑스는 81.9% 등이었다.
특히 2020년 기준 우리나라 여성 핵심노동인구 고용률은 64.1%로 OECD 38개국 중 31위에 그쳤고, 이 중 35~39세 고용율은 58.6%로 OECD 34위 수준이었다.
한경연은 지난해 기준 합계출산율이 0.81명에 그치는 등 저출산으로 인해 핵심노동인구가 빠르게 감소하고 있으며 육아와 임신출산, 결혼 등으로 인한 경력 단절 때문에 여성 핵심노동인구의 고용률이 낮다고 해석했다.
핵심노동인구란 노동공급이 가장 활발하고 생산성이 가장 높은 25~54세 사이의 연령대를 의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