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청. 이상록 기자올해 울산이 만 65세 노인인구 비율 14%를 넘어서는 '고령사회'에 진입할 전망이다.
시에 따르면 2021년 노인인구는 15만 2916명으로, 전체 인구의 13.6%를 차지했다.
지난 2011년 노인인구 비율이 7%를 초과하는 '고령화 사회'로 진입한지 10년 만에 고령사회 진입을 눈앞에 둔 것이다.
최근 10년간 연평균 약 7%씩 증가하는 고령인구 증가세를 감안할 때 울산은 올해 고령사회에 진입할 것으로 예측된다.
다만 전국적으로 보면 울산은 노인인구가 적은 편이다.
지난해 전체 노인인구 비율은 17.1%로, 울산은 세종(10.1%)에 이어 전국에서 두 번째로 노인인구 비율이 낮았다.
울산의 노인인구 성비는 여자 8만 2927명(54.2%), 남자 7만 34명(45.8%)로 집계됐다.
고령화에 따라 기대수명도 점차 높아지고 있다.
2020년 기준 울산시민의 기대수명은 82.7세로, 2011년 79.6세 보다 3.1세 늘었다.
성별로 보면, 여자(85.1세)가 남자(80.4세)보다 4.7세 더 높았다.
기대수명이 늘고 고학력 퇴직자가 많아지면서, 은퇴 후 새로운 일자리를 찾는 실버세대도 늘고 있다.
베이비붐 세대가 은퇴를 시작한 2020년 울산의 노인 구직신청 건수는 6862건으로 집계됐다.
이는 전년 대비 35.8%나 급증한 수치로, 2019년 5052건보다 1810건이나 늘었다.
또 2020년 울산시 전체 구직신청 건수의 5.4%를 차지했다.
실버세대가 희망하는 월평균 임금은 150~200만 원 미만이 61.1%로 가장 많았고, 희망직종은 경비·청소 관련직이 42.4%로 높게 나타났다.
노년층의 주택소유비율도 꾸준히 높아지고 있는 추세다.
2019년 주택 소유 노인인구는 5만 8810명으로 전년도보다 10.8%(5727명) 증가했다.
이들이 소유한 주택 수는 1채가 5만 529명(85.9%)으로 가장 많았고, 2채 6737명(11.5%), 3채 이상 1544명(2.6%) 등이었다.
지난해 울산의 노인가구는 8만 2543가구로, 울산 전체 가구(44만 487가구)의 18.6%를 차지했다.
노인가구 가구원 수를 보면 '2인 가구'가 3만 8696가구(46.9%)로 가장 많았다.
이어 '1인 가구' 2만 7387가구(33.2%), '3인 이상 가구'가 1만 6460가구(19.9%) 순이었다.
거주하는 주택 종류는 아파트 3만 7991가구(46%), 단독주택 3만 4972가구(42.4%), 다세대 주택 4377가구(5.3%) 등이었다.
다만 1인 가구만 보면 단독주택이 1만 3204가구(48.2%)로, 전체의 절반에 이를 정도로 비율이 높았다.
기초연금과 노인수당을 제외한 공적연금 수령 인구는 2020년 기준 7만 5950명으로, 전체 노인인구의 49.7%로 집계됐다.
국민연금 수령자가 7만 2505명(95.5%)으로 대다수였고, 이어 공무원 연금 2973명(3.9%), 사학연금 472명(0.6%) 등으로 파악됐다.
노인 1명당 국민연금 연간 평균 수령액은 585만 1천 원이었고, 가장 많은 연금을 수령하는 연령대는 65~69세로 1명당 731만 1천 원을 받는 것으로 나왔다.
2020년 노인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조사 결과, 노인복지 향상을 위한 정책으로는 의료서비스 확대(44.7%), 일자리 제공(25.3%), 소외 노인 지원 강화(9.3%), 여가 복지시설 확충(7.4%) 등에 대한 요구가 많았다고 시는 설명했다.
울산시 관계자는 "고령사회 진입을 앞두고 있는 만큼 관련 통계자료를 바탕으로 시민 수요에 맞는 맞춤형 정책을 펼치는데 노력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