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체육대회 때문에 추경 편성?' 금정구 구민 체육대회 논란



부산

    '체육대회 때문에 추경 편성?' 금정구 구민 체육대회 논란

    부산 금정구, 오는 11월 전 구민 체육대회 추진
    2017년 각종 논란 때문에 폐지됐다가 신임 구청장 취임과 동시에 재개
    "계획없던 사업 추진하며 두 달 만에 또 추경…서두르는 이유 모르겠다" 비판
    금정구 "추경 편성 문제없고, 체육대회는 주민이 원했기 때문" 설명

    부산 금정구청. 송호재 기자부산 금정구청. 송호재 기자
    부산의 한 지자체가 수년 전 폐지했던 구민 체육대회를 신임 구청장 취임과 동시에 재개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구청 안팎에서는 계획에도 없던 행사 예산을 확보하려고 불과 두 달 만에 또다시 추가경정 예산안을 편성하는 등 사업을 무리하게 추진하는 배경을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나온다.

    부산 금정구는 오는 11월 구민 체육대회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16일 밝혔다. 코로나19로 지친 주민을 위로하고, 구민 건강을 증진하기 위해서 행사를 추진한다고 금정구는 설명했다. 이번 달 추가경정 예산안에 체육대회 사업비 1억원을 반영하는 등 행정절차를 마무리하는 대로 구체적인 계획을 마련한다는 방침이다.

    금정구는 2017년까지 매년 주민 단체를 중심으로 체육대회를 개최했다. 하지만 전 구민이 아닌 특정 단체만 참여하는 행사가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이 계속 이어졌다. 특히 2016년 체육대회 참가자 한 명이 쓰러져 숨지는 사고가 발생하자 안전에 대한 우려까지 나왔다. 결국 2017년 행사를 마지막으로 공식적인 구민 체육대회는 열리지 않고 있다.

    구청 안팎에서는 수년 전 폐지한 체육대회를 이처럼 다급하게 다시 추진하는 이유를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이 나온다. 또 계획에도 없던 행사비를 확보하려고 1차 추경을 마친 지 불과 두 달 만에 다시 추경을 편성하는 것 자체가 '무리수'라는 비판이다.

    한 지역 관계자는 "구민 체육대회가 특정 단체만 참여하는 행사라는 비판도 있었고, 참가자가 쓰러지는 사고가 난 뒤에는 안전 문제까지 제기됐다"며 "결국 이런 영향으로 중단한 행사를 취임과 동시에 추경까지 편성하며 진행할 이유가 있는지에 대한 의문이 나오고 있다"고 전했다.

    게다가 추경 예산안을 편성할 때 재난 재해 등 긴급 상황이나 법정 필수 경비 등 꼭 필요한 예산을 반영하고 행사 경비 등은 편성을 지양하는 게 원칙인 만큼, 억대의 체육대회 예산을 추경에 반영하는 것 자체가 적절한지에 대한 논란도 나온다.

    양미숙 부산참여연대 사무처장은 "긴급한 사업이나 재난 상황에 대비하기 위한 사업이 아니라면 논의를 거쳐 내년도 본예산을 통해 사업을 추진하는 게 맞다고 본다"며 "새로 취임한 구청장이 새로운 행사를 마련한다고 해서 추경 예산안을 편성하는 것은 도덕적으로나 관행적으로도 맞지 않는 행동이라고 판단한다"고 말했다.

    구의회에서도 체육대회 개최를 놓고 주민 간에도 찬반 의견이 나뉜다며, 예산 편성에 신중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나왔다. 특히 코로나19가 확산과 소강을 거듭하며 여전히 주민 안전을 위협하는 상황에, 대규모 행사를 개최하는 것이 적절한지도 따져봐야 한다는 의견이다.

    금정구의회 관계자는 "구민 체육대회에 대해서 하자는 의견도 있고, 예전에 하다가 중단한 행사를 왜 다시 하느냐는 말도 나오는 등 의견이 분분하다"며 "코로나 시국이 이어지는 상황에서 대규모 행사를 하는 게 필요한지에 대해서는 고민해야 한다. 예산안이 올라오면 검토해볼 것"이라고 말했다.

    이런 논란에 대해 금정구 관계자는 "새로 취임한 구청장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 추경을 편성하는 것은 문제가 없다. 체육대회 역시 주민 요구가 많아 이를 수용한 것뿐"이라며 "아직 기본적인 행사 계획도 나오지 않은 상황으로, 예산안이 통과되면 계획을 수립할 것"이라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