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송 : 전북CBS <컴온라디오, 김도현입니다> (평일 낮 12시 30분~1시)
■ 진행 : 김도현 변호사 (법무법인 영)
■ 출연 : 송영신 해설사
◇ 김도현> 전라북도의 아름다움을 걸으면서 만끽하는 명품 여행길. 전라도 천년의 역사와 자연을 담은 길, 전라북도 천리길. 44개로 이루어진 전북 천리길을 매주 하나씩 만나보는 시간입니다. 내 친구 전북 천리길을 소개합니다. 지난주에는 가을 산책 맛집 전주의 슬로길 전주 건지산길을 다녀왔었죠. 오늘은 익산 함라산 둘레길로 떠나봅니다. 오늘 천리길 안내해 주실 분 해설사님 자리하셨습니다. 안녕하세요.
◆ 송영신> 네, 안녕하세요. 송영신 해설사입니다.
◇ 김도현> 전혀 긴장을 안 하시는 것 같은데요. 너무 자연스러운 시작인데요.
◆ 송영신> 긴장하고 있어요.
◇ 김도현> 아, 긴장하고 있어요. (웃음) 보기에는 전혀 긴장 안 하시는 것 같아요. 그럼 오늘 소개해 주실 길을 한번 들어볼게요. 어떤 길인가요?
함라산 둘레길 시작.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오늘은 전북 천리길 익산 제1코스 함라산 둘레길을 소개하려고 합니다.
◇ 김도현> 네, 함라산 둘레길이요.
함라산 둘레길 담장. 전북도 제공 노을. 전북도 제공 ◆ 송영신> 함라산 둘레길은 옛 익산의 넉넉한 인심과 영화를 귀담아들을 수 있는 길로 함라 삼부잣집을 보고 함라재를 넘어서 호남의 또 다른 젖줄인 금강변을 볼 수 있는 길입니다.
◇ 김도현> 함라 삼부잣집이요?
◆ 송영신> 네.
◇ 김도현> (웃음) 네. 오늘 뭔가 역사가 깊을 것 같다는 그런 느낌적인 느낌이 듭니다. 함라산은 저는 사실 처음 들어보는데 왜 함라산이에요?
◆ 송영신> 먼저 함라산은 긴 장삼 자락을 입고 염주를 손에 든 스님의 형상을 하고 있어요.
◇ 김도현> 아, 산 모양이요?
함라재.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네. 이 스님이 들고 있는 시주 그릇이 위치한 자리가 바로 함라마을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 김도현> 아, 그렇군요.
◆ 송영신> 그래서 이 함라마을은 예부터 너른 평야에 둘러싸여 있고 지대가 조금 높다 보니까 홍수가 나더라도 걱정이 없고 또 가뭄이 들어도 금강이 주변에 있어서 가뭄 걱정이 없을 만큼 먹거리가 아주 풍부하고 풍수지리적으로도 훌륭한 마을이에요.
◇ 김도현> 듣기만 해도 마을 근처에 너른 평야가 있고 그런데 그 와중에 마을은 좀 높은 데 있어서 홍수 걱정도 없고 옆에는 또 금강이 있어서 물 걱정도 없는 정말 엄청난 곳이네요. 기대됩니다. 이 길을 지금 이 시점에 꼭 가야 하는 이유가 있나요?
명상의 길.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이 시점에 꼭 가셔야 할 이유가 두 가지가 있는데요. 첫 번째는 함라재를 넘어 똥바위를 지나면 명상의 길이 이어지는데요. 이 명상의 길이 나무가 터널처럼 우거져 있어서 봄과 여름에는 그린 터널이 되고 지금 가시면 이달 10월 말부터 11월 초가 단풍의 절정 시기라고 해요. 그래서 울긋불긋 아름답게 물든 단풍 터널을 거닐 수가 있으세요.
◇ 김도현> 너무 예쁠 것 같다.
국악 뮤지컬.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그리고 바로 옆 금강에서 불어오는 시원하고 상쾌한 바람도 맞으면서 명상을 하실 수 있는 길이니까 꼭 지금 가시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이유가 하나 더 있었잖아요. 지금 함라마을에는 한옥 체험관이 있는데 이 한옥 체험관에서는 8월부터 10월 22일까지 '허균, 함라에 날아들다'라는 국악 뮤지컬이 있어요.
◇ 김도현> 저 그 현수막을 본 것 같아요.
◆ 송영신> 아, 보셨어요?
◇ 김도현> 네.
◆ 송영신> 이것이 10월 22일로 종료되기 때문에.
◇ 김도현> 아, 얼마 안 남았어요.
◆ 송영신> 보시고자 하시는 분들은 날짜 맞춰서 서둘러서 매주 금요일, 토요일 이틀간 7시 30분에 공연을 보실 수가 있습니다.
◇ 김도현> 터널을 걷고 국악 뮤지컬도 보고 너무 좋네요. 경로는 어떤가요?
경로. 전북도 제공 ◆ 송영신> 경로는 함라 삼 부잣집에서 시작해서 함라재, 야생차나무군락지 그리고 갓점마을 입점리고분전시관, 마지막으로 웅포곰개나루까지 이어집니다.
◇ 김도현> 시간은 얼마나 걸려요?
◆ 송영신> 시간은 4시간 30분 정도가 소요되고요. 거리는 12km가 나옵니다.
◇ 김도현> 12km. 걷기는 좀 수월한가요?
◆ 송영신> 사실 걷기가 처음에는 조금 어려운 것이 있는데요.
◇ 김도현> 아까 마을도 높은 데 있다고 하고 해서.
◆ 송영신> 마을까지는 어차피 차를 타고 이동을 하기 때문에.
◇ 김도현> 아, 그렇군요.
함라재 계단.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네. 차를 주차를 함라마을에서 하시고 함라마을 구경하신 다음에 함라재로 올라가는 길이 좀 가팔라요.
◇ 김도현> 재라고 하니까 왠지.
갓점마을.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넘어가는 그 재가 좀 가파른데 그 재만 넘으면 편안한 길이 나옵니다. 똥바위까지는 내리막길이 조금 이어지다가 명상의 길은 가장 코스가 길기도 하고 그쪽에 아까 말씀드렸듯이 나무 터널로 돼 있어서 한여름에도 햇빛이 어느 정도 차단되기 때문에 그늘에서 시원하게 가실 수가 있어요. 그래서 아이들 데리고도 움직이기 편한 그런 길입니다.
◇ 김도현> 뭔가 인생길이라는 생각이 듭니다. 가파른 길이 이어지다가 내리막이 오고, 그리고 또 명상의 길을 쭉 시원하게 걷는 이런 코스군요. 저는 처음에 함라 삼 부잣집이 되게 궁금했어요. 얼마나 부자였으면 이 익산 함라 삼 부잣집이라고 말할 정도로 지금까지 얘기가 나올까 싶어서. 함라 삼 부잣집은 어떤 사람들이 살았던 거예요?
조혜영 가옥.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함라 삼 부잣집은 1930년대 전국에 만석꾼이 90명 정도가 살고 있었대요.
◇ 김도현> 얼마 없네요.
◆ 송영신> 그런데 그중에 무려 세 명이 함라마을에 살고 있었다고 합니다. 그때가 일제강점기였잖아요. 그때 보릿고개로 먹고살기 힘들었던 사람들이 수저 하나만 들고 함라마을에 가면 먹고살 그런 걱정이 없었다고 해요.
◇ 김도현> 아, 밥 걱정을 안 했구나.
조혜영 가옥 1.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실제로 1932년 6월 24일 동아일보에 보면 함열리 3명이 2개월 동안 120여 명에게 식사를 제공했다는 기사가 있고요. 그리고 또 호남가라는 유명한 판소리 내용에 보면 '풍속은 화순이요, 인심은 함열이라'라는 노랫가락도 있어요.
이정표. 송영신 해설사 제공 ◇ 김도현> 아, 인심은 함열이다. 인심은 보통 곳간에서 나오거든요. 곳간이 풍족하기 때문에 또 인심도 좋은 것이죠. 이렇게 함라의 세 부자가 앞다투어 어려운 사람들을 이렇게 숟가락만 가져가면 도와줬던.
◆ 송영신> 서로 도우려고 그렇게 앞다퉈 노력을 많이 했었고 현재 국가민속문화재 297호 김병순 고택이 있고요. 그리고 전라북도 문화재 자료인 조해영 가옥과 이배원 가옥 이렇게 세 곳이 바로 함라 삼 부자집이에요.
◇ 김도현> 네. 부잣집이니까 다 들어가서 구경도 할 수 있나요?
김병순 고택. 익산시 제공◆ 송영신> 그런데 안타깝게도 김병순 고택은 특별히 행사 때를 제외하고는 일반인에게 개방하지 않고 있어요. 하지만 대신에 조해영 가옥은 상시 개방하고 있어서 조해영 가옥이 4대에 걸쳐서 가옥이 지어졌는데 전통 한옥 가옥의 그런 양식과 일제강점기의 외식에 영향을 받은 그런 변화를 한눈에 볼 수 있는 가옥이에요.
◇ 김도현> 진짜 역사를 볼 수 있네요.
이배원 가옥.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그리고 마지막으로 이배원 가옥이 있는데 거기는 담장을 가운데 하나 설치해서 한쪽 안채에는 지금 이배원의 후손들이 생활하고 계시고요. 그리고 다른 쪽인 사랑채와 대청마루를 터서 거기는 원불교 함라교당으로 사용하고 계세요.
◇ 김도현> 안채에서 후손들이 생활하고 있다는 것이 굉장히 뭔가 감동적이네요. 계속 살고 있다는 것이. 똥바위, 똥바위 계속 얘기했는데 똥바위는 뭔가요? 똥처럼 생겨서 똥바위인가?
◆ 송영신> 궁금하시죠. 맞습니다. (웃음)
◇ 김도현> 아, 그래요? (웃음)
똥바위 유래.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옛날에 이 함라재를 넘어서 똥바위를 지나는 사람들이 용변을 봤다는 그런 이야기도 있기는 한데 이 바위의 모양 자체가 용변 더미처럼 생겼다고 해서 똥바위라고 그래요.
◇ 김도현> 애들은 엄청 좋아하겠네요. 애들은 똥 얘기만 해도 까르르 까르르 넘어가니까. 한번 가보고 싶네요. 이 길을 걷다가 입점리 고분도 볼 수 있다고요.
입점리 고분 전시관.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네, 맞습니다. 새터마을이라는 곳에 살던 한 학생이 겨울에 토끼 사냥을 갔다가 우연히 발견한 그런 무덤이 바로 입점리 고분인데요. 굴식 돌곽무덤과 구덩식 돌곽무덤이 같은 자리에서 발견이 됐다 그래요.
◇ 김도현> 그래서 이 굴식 돌곽무덤하고 구덩식 돌곽무덤이 백제.
입점리 고분 전시관 내부.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백제에서도 아주 중요한 중앙 세력이 그곳에 있었고 그곳에서 발견된 무덤을 통해서 익산에 백제의 중앙 세력이 있었다. 아주 역사적으로 중요한 문화를 이해하는 데.
◇ 김도현> 도움이 많이 되겠네요.
◆ 송영신> 도움이 많이 됐던 곳이죠.
◇ 김도현> 중요한 유적지네요.
◆ 송영신> 그리고 종점인 웅포 곰개나루는 전에도 한번 방송에 나왔었잖아요.
◇ 김도현> 네.
종점.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웅포 곰개나루 시점과 종점이 웅포 곰개나루인데 함라산 둘레길의 종점 역시 웅포 곰개나루예요.
◇ 김도현> 아, 그렇군요.
◆ 송영신> 그래서 이곳에 보면 천리길 스탬프 찍는.
◇ 김도현> 아, 스탬프 맞아요.
◆ 송영신> NFC 태그가 바로 한 곳에 같이 자리하고 있습니다.
◇ 김도현> 좋네요. 이 길에 얽힌 이야기도 있다고요.
◆ 송영신> 네. 홍길동전 아시죠?
◇ 김도현> 아까 그 허균.
허균 유배.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네, 맞습니다. 모르시는 분이 없는 아주 정말 유명한 소설인데 이 저자가 바로 허균 선생님이세요. 허균 선생님이 1년간 유배 생활을 했던 곳이 바로 함라마을 함열현입니다.
◇ 김도현> 아니, 이렇게 좋은 곳에서 유배 생활을 하셨단 말이에요?
◆ 송영신> 이분이 사실은 먹거리에 대해서 관심이 많으셔서 내가 간다면 함라로 보내달라고 요청하셨대요.
◇ 김도현> 그때 당시에 귀양지를 선택할 수 있었군요.
◆ 송영신> 어느 정도 그래도 배려해 준 것이 아닌가.
◇ 김도현> 그랬군요.
◆ 송영신> 여기서 지으신 책이 바로 '성소부부고'라는 책이 있는데
◇ 김도현> '성소부부고'
성소부부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제공 ◆ 송영신> '성소'는 허균의 호이고 '부부고'는 작은 항아리를 덮을 정도의 글이라고 해서 허균 선생이 자기의 글을 겸손하게 낮춰서.
◇ 김도현> 아, 그런 뜻이구나.
◆ 송영신> 내용은 함라 관아에 객사를 짓는 과정과 그리고 마지막 내용에 보면 도문대작이라는 글이 실려 있는데 이것이 바로 전국 음식을 품평해 놓은 글입니다.
◇ 김도현> 허균 선생님이 미식가셨구나.
◆ 송영신> 그래서 아까 말씀드렸던 '허균, 함라에 날아들다' 거기에 나오는 내용이 바로 도문대작에 관한 그런 내용입니다.
◇ 김도현> 먹거리 얘기군요.
◆ 송영신> 네, 맞습니다.
◇ 김도현> 진짜 더 보고 싶습니다. 그럼 우리가 이 길을 걸으면서 꼭 봐야 하는 포인트 3가지가 있다면요?
함라마을 담장.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3가지가 있는데요. 함라마을에는 삼부자가 있었잖아요. 이 삼부자의 집을 둘러싼 옛 담장이 있는데 옛 담장이 지금 등록문화재 263호로 지정이 되어 있어요.
◇ 김도현> 담장이요?
◆ 송영신> 네. 그 정도로 토담, 돌담, 전돌로 쌓은 담이 유명하고요. 그중에 흙다짐을 돌에 다져 넣은 토속담이 주를 이루고 있는데.
◇ 김도현> 돌 사이사이에 흙을 넣었군요.
함라마을 담장길.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네. 이 담의 길이를 다 합치면 1,500m 정도 된다고 그래요.
◇ 김도현> 엄청 긴 담이네요.
◆ 송영신> 그렇죠.
◇ 김도현> 그 어마어마한 규모를 한번 보러 진짜 가 봐야 하겠습니다.
◆ 송영신> 사진 찍기도 아주 좋아요.
◇ 김도현> 또 여기가 뷰 맛집이군요. (웃음)
◆ 송영신> 그렇죠. (웃음)
◇ 김도현> 두 번째는요?
뷰.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아까 똥바위 말씀드렸는데 똥바위에서 내려다보는 금강 뷰가 아주 장관입니다.
◇ 김도현> 아, 그렇군요.
◆ 송영신> 멋진 경치를 보시기에 좋고요.
◇ 김도현> 여기도 사진 찍기 좋을 것 같아요.
◆ 송영신> 네, 맞습니다.
◇ 김도현> 세 번째는요?
산림문화체험관. 익산시 제공 야생차 군락지. 익산시 제공 ◆ 송영신> 최북단 야생차군락지가 있는데요. 여기에는 익산시가 자랑하는 산림문화체험관이 있어요. 숲속 쉼터 카페가 있고 녹차 제다실, 녹차 체험시설, 목공 체험시설 같은 그런 여러 종류의 체험을 하실 수가 있습니다.
◇ 김도현> 목공 체험 한번 해보고 싶어요. 산림문화체험관이기 때문에 아무래도 나무나 차를 이용한 체험이 많은 것 같아요. 마지막으로 어떤 길인지 우리 해설사님이 한마디로 정의한다면요?
명상하면서 걷는 길.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명상하면서 힐링하는 길이에요.
◇ 김도현> 아까 그 터널처럼 생겼다는 그 길.
둘레길.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네, 그 길에서. 어떻게 부자가 될 것인가보다는 사람으로서 마땅히 해야 할 도리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함라 삼 부잣집을 보고 함라산의 아름다운 명상의 길에서 나 자신을 돌아보면서 힐링할 수 있는 그런 길입니다.
◇ 김도현> 저도 요즘에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를 굉장히 고민 많이 하고 있거든요. 이 길을 걸으면서 한번 생각을 해봐야겠다는 생각이 또 드네요. 이제 이 길을 저희가 4시간 반이나 걸었단 말이에요. 너무 허기진 상태인데.
◆ 송영신> 너무 배가 고프죠.
◇ 김도현> 네, 너무 배가 고파요. 꼭 먹어야 하는 음식이 있다면요?
육회비빔밥.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익산에는 육회비빔밥이 유명한 곳이 있어요. 황등시장에 가면 시장비빔밥이라는 곳이 있는데.
◇ 김도현> 여기 진짜 유명하죠.
◆ 송영신> 여러 방송 매체에 소개가 될 정도로 맛집이거든요. 여기가 특별한 이유는 돼지국밥 육수에 토렴을 해요. 그래서 그 밥알이 자작자작 부드러운 그 밥알에다가 양념을 넣고, 그리고 갓 잡은 그날그날 잡은 육회에다가 갖가지 야채를 버무려서 그 맛을 보면 육수가 잘 배인 밥알 하나하나가 식감이 아주 근사합니다.
◇ 김도현> 그래서 되게 많다고 들었어요. 이 황등 육회 비빔밥집이 굉장히 시장에 많이 있다고.
◆ 송영신> 그중에서도 가장 맛있는 집이라고 해서 저도 가서 맛을 봤거든요.
◇ 김도현> 어떠셨어요?
◆ 송영신> 식감이 정말 좋더라고요.
◇ 김도현> 남다른 식감. 좋죠. 진짜 자꾸 침이 고여서 말을 못 하겠어. 이 길과 함께 둘러볼 수 있는 주변 관광지도 한번 소개를 해주시죠.
고스락 카페.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가까운 곳에 3만여 평 규모의 4,000여 개 정도 되는 항아리 정원이 있는 고스락 카페가 있거든요.
◇ 김도현> 저희 아버지가 여기 얼마 전에 갔다 오시고.
◆ 송영신> 아, 다녀오셨군요.
◇ 김도현> 같이 가자고. 저희 아버지 프로필 사진이 지금 이것으로 돼 있거든요. 너무 마음에 드셨나 봐요.
고스락 전망대 뷰.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사실 이 카페에 가면 정원이 워낙 넓다 보니까 또 햇빛을 받고 산책하려면 힘들잖아요. 센스 좋게도 빨간색 양산을 대여해 주세요. 그런데 이 빨간색 양산을 쓰고 앞으로 조금 걸어가다 보면 전망대가 나오는데 그 전망대 위에 올라서 내려다보이는 항아리 정원의 뷰가 너무 멋있습니다.
◇ 김도현> 빨간색 양산을 여러 사람이 쓰고 걸어가는 모습도 장관이겠어요.
◆ 송영신> 네. 만약 날씨가 아주 화창하다면 푸른 하늘에 대비되는 빨간 양산을 들고 사진을 찍으면 또 인생 사진을 남기실 수 있어요.
◇ 김도현> 진짜 센스가 있으시다. (웃음)
고스락. 송영신 해설사 제공 ◆ 송영신> 저도 프로필 사진을 한동안 전망대에서 찍은 사진으로 했었거든요. (웃음)
◇ 김도현> 프로필 사진 맛집까지 소개를 해주셨습니다. 저도 아빠가 하도 가자고 해서 고스락 카페 한번 가보려고 하거든요. 이 인생 우리 명상하면서 힐링하는 길도 걷고 고스락 카페도 가고 밥도 비벼 먹고 하면 너무 좋을 것 같습니다. 전라북도의 아름다움을 걸으면서 만끽하는 명품 여행길, 전라북도 천리길. 오늘은 44개의 길 중에 23번째 길이죠. 익산 함라산 둘레길을 함께 걸어봤습니다. 조만간 꼭 가서 걸어보겠습니다. 송영신 해설사님 멋진 안내 감사했습니다.
◆ 송영신> 고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