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화물연대 총파업…충북 제천·단양 시멘트업계 운송 차질



청주

    화물연대 총파업…충북 제천·단양 시멘트업계 운송 차질

    24일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앞 총파업 출정식
    파업 참여 1천 명 이상 추산…큰 충돌은 없어
    제천·단양 시멘트 업체, 육상 운송 일시 중단
    도, 비상수송 대책본부 격상…자가용 유상 허가 등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
    화물연대의 총파업으로 충북 북부지역 시멘트 업계의 제품 출하에도 차질이 빚어지고 있다.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 충북지역본부가 24일 오전 한일시멘트 단양공장 앞에서 출정식을 열고 무기한 총파업에 돌입했다.
     
    화물연대는 이날 새벽 0시부터 운송 거부에 돌입한 도내 화물 노동자만 1천 명 이상으로 추산하고 있다.
     
    이들은 안전운임제 일몰제 폐지를 비롯해 안전운임 차종과 품목 확대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 기사의 과로나 과속, 과적 운행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 운임을 보장해 주는 제도로, 2020년 도입됐다.
     
    화물연대 충북본부 관계자는 "앞서 국토부와 교섭 과정에서 안전운임제 지속 연장하고, 품목도 추가하는 쪽으로 논의해 왔다"며 "하지만 지금 국토부는 안전운임제를 한시 연장하고, 품목도 추가할 수 없다며 말을 바꿨다"고 지적했다.
     
    이날 출정식에서 노조원과 업체 간 큰 충돌은 없었지만, 경찰은 경력 400여 명을 배치해 만일의 사태에 대비했다.
     
    다만 이날 오전 한일시멘트 단양공장에서는 시멘트를 실어 나르기 위해 공장으로 진입하는 화물차를 노조원들이 막아서는 일부 마찰이 빚어지기도 했다.
     
    황진환 기자황진환 기자화물연대의 파업으로 도내 북부지역 시멘트 운송은 벌써부터 차질이 생기고 있다.
     
    한일시멘트와 성신양회, 아세아시멘트 등 단양과 제천지역 시멘트 업체는 이날 오전부터 벌크시멘트 트레일러를 통한 육송 출하를 임시 중단하고, 철도 운송으로 대체했다.
     
    하지만 다음달 초 철도노조의 파업도 예고돼 있어 화물연대의 파업 장기화가 현실화할 경우 시멘트 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이들 북부지역 시멘트 업체의 하루 생산량만 모두 5만t이 넘는 규모로, 육송 출하 비중이 60%에 달하고 있다.
     
    충청북도는 화물연대의 파업이 장기화할 가능성도 열어두고 대책 마련에 부심하고 있다.
     
    도는 국가위기관리매뉴얼 경계(Orange)단계 발령에 맞춰 전날(23일)부터 기존 비상수송 대책상황실(실장 교통정책과장)을 비상수송 대책본부(본부장 균형건설국장)로 격상 운영하고 있다.
     
    또 각 시·군에 △자가용 화물자동차(8t 이상 카고트럭, 견인형 트랙터)의 유상운송허가 △시멘트 공장에 대한 경찰 보호조치 △주·정차 위반이나 불법 밤샘주차(0~4시) 단속 견인조치 △피해 발생시 보상지침 안내 등 대응 체계를 한층 강화하고 있다.
     
    도 관계자는 "화물연대 파업종료 시까지 국토교통부와 일선 시·군, 경찰 등과 긴밀히 공조체계를 유지하고 현지 동향파악 등 화물수송에 공백이 발생하지 않도록 적극 대응할 것"이라고 말했다.

    화물연대의 총파업은 지난 6월 이후 5개월여 만으로, 당시 도내 북부지역 시멘트와 레미콘 업체는 공장 가동을 일부 중단하는 등 피해를 입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