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창원 기자내년 4월 10일 치러지는 22대 국회의원 선거를 1년 앞두고 더불어민주당이 이재명 대표 체제로 총선을 완주할지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이 대표에 대한 체포동의안 표결 이후 부각된 당내 갈등은 지도부의 당직 개편을 비롯한 쇄신책으로 잠잠해지는 모습이다. 최근 비이재명계(비명계) 의원들도 공식 발언을 아끼면서 연말까지 '이 대표 체제 굳히기'가 현실화할 전망이다.
다만 앞으로 이 대표 거취와 관련한 변수로는 검찰 수사 과정과 재판 결과가 있다. 이 대표는 백현동 특혜 의혹 등으로 수사를 받고 있고, 공직선거법 위반 사건과 최측근(정진상·김용)의 재판 1심 결과가 총선 전에 나올 것으로 관측된다. 아울러 총선 승리를 위해 필수적인 무당층(중도층) 표심을 가져올 수 있는지가 이 대표 신임의 결정타가 될 것으로 보인다.
연말 퇴진에 비대위 전환할까…이재명 대표 거취 주목
물론 일부 비명계 의원들은 이 대표 체제에서의 총선 승리는 어렵다며 연말 전 이 대표 퇴진과 전당대회 개최를 구상하고 있다. 검찰의 추가 영장 청구가 예상되는 데다 재판으로 당에 부담이 지워진다며 본격적인 총선 국면 전에 체제를 전환해야 한다는 시각이다. 한 비명계 재선 의원은 "지금은 현 정부의 실책에 집중하고 있으나 연말까지 이대로 가리라고 쉽게 예측할 수 없다"며 이 대표 퇴진론이 다시 불거질 수 있다고 암시했다.
윤창원 기자그러나 당내에서는 결정적 증거가 나오지 않은 탓에 향후 검찰 수사와 재판 결과가 이 대표에게 큰 악재로 작용하지 않으리라는 시각이 우세하다. 또 민주당 당헌에 따르면 이 대표가 연말 전에 사퇴할 경우 임기가 8개월 이상 남아 무조건 전당대회가 열리는데 이때 최고위원들은 물러나지 않아도 된다. 따라서 당 대표를 새로 선출하더라도 친이재명계(친명계) 의원들이 여전히 지도부를 장악할 수 있어 대안이 아니라는 분석이 제기된다.
대신 떠오르는 가능성은 연말 비상대책위원회(비대위)·선거대책위원회(선대위) 체제로의 전환이다. 민주당 당헌은 비대위 구성 요건으로 '당 대표 및 최고위원 과반이 궐위되는 경우'를 명시한다. 이에 이 대표가 총선 국면에서 현재 약 30%로 추산되는 무당층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등 돌파력을 보여주지 않으면 지도부 동반 사퇴 요구를 받을 수 있다.
계파색이 옅은 한 중진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이 대표가 12월 전에 물러날 가능성은 없으나 연말 가서 바뀌는 것도 변수가 있다"며 "지금은 지지율이 나쁘지 않지만 수도권 중도층의 표심이 아직 안 왔기 때문에 이 대표가 앞으로 6개월가량 표심을 잡기 위해 노력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고 설명했다.
'문재인-김종인' 모델 거론…李, 사실상 공천권 행사 가능
윤창원 기자관련해 당 일각에서는 지난 2016년 당시 문재인 당 대표가 내홍의 책임을 안고 김종인 비대위·선대위원장 체제로 총선을 치르면서도 사실상 공천권을 행사했던 사례를 언급하며, '이 대표 사퇴'로도 총선을 치를 수 있다는 주장이 나온다.
2015년 2월 새정치민주연합(현 민주당)을 이끌기 시작한 문재인 당시 대표는 두 달 뒤 치러진 4·29 재·보궐 선거에서 참패하는 등, 재임 10개월 내내 '정치적 무능', '리더십 부재'라는 혹독한 비판에 시달렸다. 여기에 새정치민주연합 창립 멤버인 안철수 의원과의 갈등까지 더해 당이 내홍에 휩싸였다. 결국 같은 해 12월 안 의원의 탈당을 시작으로 대규모 분당 사태가 발생했고, '문재인 대표 체제'는 구석에 몰렸다. 문 대표를 향한 사퇴 요구도 빗발쳤다.
당시 문 대표는 2016년 1월 총선을 약 3개월 남기고 대표직에서 내려왔다. 그리고 당시 김종인 비대위·선대위원장에게 전권을 이양하는 방식으로 지도체제를 개편했다. 김 위원장은 "세력 교체와 당 안정화를 이루겠다"라고 다짐하며 공천 작업에 착수했다. 그러나 결과는 '친노(親노무현) 탈락', '친문(親문재인) 승리'였다. 김경협, 전해철, 홍영표 의원 등 친문계 현역 의원 상당수가 공천심사를 무난히 통과했고, 당시 문 대표가 직접 발품을 팔아 영입한 이른바 '문재인 키즈' 20여 명도 무난하게 공천장을 거머쥐었다.
이러한 과거 사례를 두고 친명계 일각에서도 이재명 대표 역시 사법 리스크가 연말까지 이어질 경우 대표직을 내려놓되 뒤에서 공천권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우회론'을 고려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다만 이 대표가 물러났을 때 강성 지지층이 비명계 의원들을 향해 무차별적 공격을 재개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강성화된 당에 국민이 부담을 느낄 수 있다는 점 때문에 이 대표도 최근 지지층에 '공격 자제'를 강조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