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항우연,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사진 공개

대전

    항우연,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사진 공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달의 반대쪽 면에 위치한 대형 충돌구로 러시아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러시아 루나 3호에서 처음 발견한 이래 여러 미국 달 궤도선과 아폴로 계획의 우주비행사에 의해 촬영된 바 있다. 항우연 제공치올콥스키 크레이터. 달의 반대쪽 면에 위치한 대형 충돌구로 러시아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됐다. 러시아 루나 3호에서 처음 발견한 이래 여러 미국 달 궤도선과 아폴로 계획의 우주비행사에 의해 촬영된 바 있다. 항우연 제공
    대한민국 달 탐사선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 사진이 공개됐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은 다누리가 지난달 22일과 24일 촬영한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과 '슈뢰딩거 계곡 지역,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의 사진을 공개했다고 12일 밝혔다.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달 뒷면을 촬영한 사진이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으며 24일 사진들은 다누리가 달 궤도를 1000회 공전한 날에 찍었다는 점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공개된 영상들은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가 촬영한 것으로 달 지표의 크레이터와 크레이터 내 우뚝 솟은 봉우리 등의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달 뒷쪽의 북위 31도 부근에 위치한 직경 약 23km의 분화구로서 주변 테두리는 후속 충격에 의해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핵 연쇄반응을 이론화 한 레오 실라르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항우연 제공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달 뒷쪽의 북위 31도 부근에 위치한 직경 약 23km의 분화구로서 주변 테두리는 후속 충격에 의해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추정된다. 제2차 세계대전 중 핵 연쇄반응을 이론화 한 레오 실라르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했다. 항우연 제공
    이와 함께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의 광시야편광카메라 촬영 영상도 공개됐다.
     
    광시야편광카메라는 달 표면 편광영상으로 표토 입자 크기와 조성을 알아내기 위해 개발한 탑재체로 이번 촬영 영상에서는 파장과 편광 필터의 종류에 따라 밝기가 뚜렷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앞으로 달 표면 입자, 조성 분포 연구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다누리 탑재체의 달 관측자료를 통한 달 과학연구성과와 달 전면 편광지도 등도 2024년부터 공개될 예정이다. 
     
    한편 다누리 홈페이지를 통해 다누리 촬영 영상 등이 공개되고 12일부터는 달 궤도 상 다누리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된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