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급매 소진되자 아파트 실거래가 반등…강남4구 상승폭 최고



부동산

    급매 소진되자 아파트 실거래가 반등…강남4구 상승폭 최고

    핵심요약

    2월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지수, 지난해 4월 이후 10개월만에 상승 전환
    서울 실거래가 지수는 두 달 연속 상승…서울 5대 권역중 상승폭 1위는 동남권

    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박종민 기자서울 송파구 롯데월드타워 서울스카이에서 바라본 아파트 모습. 박종민 기자
    기준금리 급등세 진정과 규제 완화에 힘입어 부동산 급매물 거래가 늘고있는 가운데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가 10개월 만에 반등했다.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두 달 연속 오르며 상승폭이 커졌고, 특히 강남4구는 서울 내에서 가장 상승폭이 컸다.

    18일 한국부동산원이 집계한 2월 전국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1월 대비 1.08% 올라 지난해 4월 0.46% 오른 이후 처음으로 상승 전환했다. 연초 규제지역 해제 등 정부의 대대적인 규제 완화 이후 2월 들어 급매물 거래가 늘면서 일부 지역에서는 직전 거래가보다 높은 가격에 팔리는 상승 거래도 나오고 있다.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2월 전국 아파트 거래량(신고일 기준)은 3만1337건으로 전월(1만7841건) 대비 75.6% 늘었다. 5년 평균 거래량의 절반 수준이지만 지난해부터 이어진 거래절벽 상황을 감안하면 시장에 일부 숨통이 트였다는 평가가 나온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2월 서울 아파트 실거래가 지수는 전월 대비 1.85% 올라 1월에 이어 두 달 연속 상승했다. 특히 강남4구가 있는 동남권의 실거래가 지수의 상승 폭이 2.28%로 서울 5대 권역 중 가장 컸다. 마포·서대문·은평구 등이 있는 서북권의 실거래가 지수는 2.12% 올라 서울 5대 권역 중 두 번째로 상승 폭이 컸다. 노원·도동·강북구 등이 포진한 동북권은 전월 대비 1.59% 올랐고, 양천·영등포·강서·동작구 등이 있는 서남권은 1.42% 올라 지난해 4월(0.94%) 이후 10개월 만에 상승 전환했다. 반면 용산·종로·중구가 있는 도심권은 서울에서 유일하게 1.77% 하락했다.

    인천(0.78%)과 경기(1.83%)의 실거래가 지수도 상승 전환했다. 이런 영향으로 수도권 전체 실거래가 지수 역시 1.70% 오르며 열 달 만에 반등했다.

    지방의 실거래가 지수 역시 0.46% 올라 지난해 4월(0.51%) 이후 처음으로 상승 전환했다.

    일찌감치 아파트 매매가격이 상승전환한 세종은 실거래가 지수가 전월보다 2.99% 올라 제주(2.87%)를 제치고 전국 광역 시도 가운데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다. 아울러 △부산(1.38%) △대전(0.62%) △전북(0.44%) △전남(0.42%) △경북(0.96%) △경남(0.93%) △충북(0.17%) △충남(0.19%) △강원(0.20%) 등도 하락세를 멈추고 지수가 반등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