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日 원전 오염수 불안…제주 횟집 "간판 내립니다"



제주

    日 원전 오염수 불안…제주 횟집 "간판 내립니다"

    5년 운영 김 사장 "안전에 불안한 횟감 제공에 회의감 느껴"
    16일 제주도 수산업계 위기대응 대책회의…수산업계 위기감 최고조
    수산물수출협회장 "수산업계 직원 유급휴직‧권고사직 상황"


    "5년 동안 운영해온 횟집 여정을 이제 접습니다"
     
    일본의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를 앞두고 제주지역 수산업계가 최대 위기를 맡고 있는 가운데 제주시 한 횟집이 업종 전환을 공식으로 밝혀 주목된다.
     
    제주시 한림읍 바닷가에서 5년 여 동안 횟집을 운영해온 50대 김모 사장은 최근 자신의 SNS를 통해 횟집을 접는다고 알렸다.
     
    김 사장은 "자연산만을 고집하며 열심히 했지만 7월부터 후쿠시마 원전 오염수 방류를 앞두고 안전에 불안한 횟감을 제공한다는 것에 회의를 느껴 간판을 내린다"고 밝혔다.
     
    특히 그는 "정부나 그 누구도 원전 오염수 문제를 해결할 의도도 없어 보여 횟집을 포기한다"고 강조했다.
     
    일본 후쿠시마 방사능 오염수 해양 방류에 대한 걱정은 김 사장 개인에게만 위기로 다가오는 것이 아니다.
     
    16일 제주도청에서 수산업 위기대응 특별대책위원회 제4차 회의가 열렸다. 이 자리에는 도내 수협조합장, 수산관련 단체장, 전문가 등 20여명이 참석했다.
     
    한용선 양식수협조합장은 "원전 오염수 해양 방류는 대한민국 수산업과 어촌 붕괴를 일으키는 문제"라고 말했다.
     
    이호성 수산물수출협회장도 "회원사들은 직원들에 대해 유급휴직과 권고사직을 실시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될 텐데 이에 대한 보조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성호경 제주도 어촌계장연합회장은 "부산이나 다른 지자체와 함께 목소리를 내서 정부 차원의 관심을 유도하고 휴대용 측정기를 통해 이상 유무를 파악해 이상이 없다면 이를 지속해서 홍보해야 한다"고 요청했다.

    16일 제주도가 수산업 위기대응 특별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제주도 제공16일 제주도가 수산업 위기대응 특별대책회의를 개최했다. 제주도 제공 
    제주도는 수산물 방사능 분석장비를 확보해 갈치, 고등어, 전갱이, 참조기 등 제주산 수산물 15개 품목 400건 이상에 대해 방사능 검사를 추진 중이다.
     
    김희현 제주도 정무부지사는 회의에서 "제주도는 정부 대책보다 인력과 예산, 시간을 더 투입해 강도 높게 대응해 나가겠다"며 "오염수 방류 대응과 어업인 피해 최소화에 행정력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지난 2월부터 제주 농어업인들은 규탄 집회를 수차례에 열어 일본 정부의 방사능 오염수 방류계획을 규탄하고 정부의 적극적인 대책을 촉구했지만 구체적인 답변을 듣지 못하고 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