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7일 충북 청주시 청원구 문화제조창 중앙광장에서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상승세를 타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을 넘어섰다는 복수의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윤 대통령의 취임 초기를 제외하고 줄곧 국정지지율보다 소폭 높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달 초 외교이벤트 등의 영향으로 국정지지율이 오르면서 역전됐다.
국민의힘은 높은 국정지지율이 총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라고 기대하지만, 이면에는 대통령의 당 장악력이 높아져 대통령실과 당의 수직적 관계가 고착화 될 것이라는 우려와 외연확장에 대한 고민이 보인다.
당 지지율 넘어선 尹지지율에 "내년 총선 승리 가능해져"
7일 CBS노컷뉴스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윤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40% 안팎의 상승세를 기록하며 국민의힘 지지율을 추월했다. 연합뉴스 의뢰로 메트릭스가 지난 3~4일 전국 성인남녀 1천명을 대상으로 한 여론조사 결과 윤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36.3%, 국민의힘 지지율은 34.1%를 기록했다. 국정지지율 상승세는 다소 둔화됐지만 여전히 국민의힘 지지율보다는 높은 수치다. (응답률 20.5%,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3.1%포인트)
구체적으로 한국갤럽과 리얼미터의 지지율 추이를 분석하면,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취임 초기 두 달을 제외하고 꾸준히 당 지지율보다 낮았던 윤 대통령의 국정지지율은 5월3주차에 37%로 올라서며 국민의힘 지지율(32%)을 역전했다.
리얼미터에서도 지난해 7월 이후 줄곧 국정지지율이 국민의힘 지지율보다 낮았지만, 5월2주차 조사에서 국정지지율(36.8%)이 국민의힘 지지율(36.3%)을 추월하며 현재까지 흐름이 이어지고 있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 상승세는 미국 국빈방문과 주요7개국(G7) 정상회의 등 굵직한 외교 행보들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국민의힘은 국정지지율 상승세에 표면적으로는 고무된 분위기다. 내년 총선이 윤석열 정부의 중간평가 성격을 가진다는 것을 감안하면, 높아지는 국정지지율이 총선 승리에 도움이 될 것이라는 기대다.
소위 '신핵관'으로 불리는 박수영 여의도연구원장은 윤 대통령의 지지율의 45%에 근접했다는 여론조사에 "대선 당시 지지율(48%)을 거의 회복한 거라 볼 수 있다"며 "대통령 특유의 진정성과 뚝심으로 뚜벅뚜벅 가다 보면 더 높은 지지율을 바탕으로 내년 총선 승리를 만들어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외연확장‧수직 당정관계 고착화 우려도…"당 총선전략 안 보여"
하지만 내부적으로는 국정지지율에 비해 정체된 당 지지율에 대한 위기의식이 분분하다. 더불어민주당은 돈봉투 의혹, 코인 논란에 혁신위원장 파문까지 악재가 계속되고 있지만 국민의힘의 뚜렷한 반사이익이 없다. 알앤써치 김미현 소장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국민의힘 지도부의 존재감이 보이지 않아서 코인 논란 등 야권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반사이익이 당이 아닌 대통령 쪽으로 간 것"이라고 분석했다.
국정지지율이 당 지지율을 견인하는 상황에 대한 우려와 '대통령 간판'에만 기대는 총선전략에도 의문의 목소리가 나온다. 국정지지율이 상승세이긴 하지만 여전히 부정평가가 더 높고, 특히 중도‧무당층의 지지를 얻지 못하는 상황이기 때문이다. 리얼미터가 지난달 30일부터 지난 2일까지 전국남녀 200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무당층의 70.3%와 중도층의 59.9%가 윤 대통령의 국정운영을 부정평가했다. (응답률 3.1%, 표본오차 95% 신뢰수준에 ±2.2%포인트)
국민의힘 영남권 의원은 "계속되는 노조, 시민단체와의 전면전은 검사 출신 대통령에겐 플러스이겠지만 총선을 앞둔 당의 외연확장에는 부담"이라며 "민생에서 성과를 기대할 수도 없는 형편에서 용산만 바라보는 것 외에는 당의 총선전략이 보이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특히 상승세인 지지율을 바탕으로 대통령실의 당 장악력이 더 커질 거라는 전망도 나온다. 지도부가 연일 '검사 공천설'을 일축하는 이유기도 하다. 한 여권 관계자는 "대통령은 지금 지지율에 상당한 자신감이 붙었다. 대선 때부터 당에 빚진 게 없는 윤 대통령 입장에서는 '지금의 당 지지율도 대통령 덕분'이라고 생각할 것"이라며 "당과 대통령실의 수직관계가 고착화될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기사에 인용된 여론조사는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고하면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