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온라인'에 친숙해진 아이들…청소년 유해환경 실태는?



사건/사고

    '온라인'에 친숙해진 아이들…청소년 유해환경 실태는?

    청소년 96.7% '인터넷 개인방송·동영상 사이트 이용'
    47.5% 성인물 접해…타인 ID·주민번호 이용해 '도박성 게임'도
    온라인 친구가 가해자로 '돌변'…관련 응답 17.4%로 늘어
    청소년 식욕억제제·진통제 대부분 병원 처방 통해 구입
    청소년 10명 중 1명만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업소' 이용법 안다

    연합뉴스 연합뉴스 
    청소년 사이에서 유튜브·페이스북 등 온라인 매체가 큰 인기를 끄는 가운데, 청소년들이 온라인에서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예전보다 늘었다. 특히 성인물·도박성 게임 등 온라인 유해물을 접하는 시기도 낮아지는 추세다.

    여성가족부는 22일 '2022년 청소년 매체이용 유해환경 실태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이 조사는 청소년 보호정책을 수립하기 위해 '청소년 보호법'에 따라 2년마다 실시된다.

    이번 조사는 지난해 9월부터 11월까지 전국 4~6학년 초등학생과 중·고등학생 1만 7140명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집단 면접조사로 청소년의 매체이용 및 유해환경에 대한 종합적인 실태를 조사한 결과다.

    청소년의 온라인 영상물 이용 분석에서, 조사 대상 중 96.7%가 인터넷 개인방송이나 동영상 사이트를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초등학생의 '확장가상세계(메타버스)' 이용률은 70.6%로 중학생 이용률(37.3%)과 고등학생 이용률(15.2%)보다 높았다.


    청소년들이 폭넓게 이용하다 보니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경우도 적지 않았다.

    성인용 영상물을 이용한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47.5%로 집계돼, 지난 조사(2020년, 37.4%) 대비 증가했다. 특히 성인용 영상물을 이용한다는 초등학생 비율은 2018년 19.6%, 2020년 33.8%로 꾸준히 늘다가 이번해에는 40%를 기록했다.

    온라인을 통해 도박성 게임 등 유해매체를 이용한 경험이 있는 청소년 중 '타인 아이디를 사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20.7%,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한 경험이 있다'고 답한 비율이 9.8%로 나타났지만, 그렇지 않은 청소년의 경우 '타인 아이디를 사용한 경험률'은 5.8%, '타인의 주민등록번호를 도용한 경험률'은 1.7%로 집계돼 큰 차이를 보였다. 

    폭력·성폭력 가해자 중 '온라인에서 새로 알게 된 사람'의 비중은 지난 조사에서 9.9%에 그쳤지만 이번 조사에서는 17.3%로 증가했다.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청소년들이 활발하게 온라인 활동을 하면서 유해환경에 노출되는 경우가 늘었지만, 여전히 청소년들은 오프라인에서도 각종 유해환경으로부터 위협받고 있다.

    조사 대상 중 13.7%가 '음주 경험이 있다'고 답해 지난 조사(11.6%)보다 2% 가량 늘었다. 하지만 '흡연한 적이 있다'고 응답한 비율은 지난 조사보다 0.4%p 줄어 4.2%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서는 최근 사회 문제로 불거진 청소년 마약 문제나 청소년 출입·고용 금지 업소 이용 실태 등을 분석할 수 있는 결과들이 포함됐다.

    최근 청소년 마약 문제가 사회 문제로 불거진 가운데, 환각성 물질과 약물인 식욕억제제(나비약) 복용 경험은 0.9%, 진통제(펜타닐패치) 사용 경험은 10.4%로 나타났다. 청소년 대다수는 병원에서 처방을 받아 해당 물질들을 구입한 것으로 조사됐다.

    청소년 출입·고용금지업소 중 '멀티방과 룸카페'가 13.8%로 가장 높은 이용률을 차지했다. 또 출입 가능 여부·이용시간대 등 해당 업소를 이용하는 방법을 알고 있는 청소년은 11.1%에 불과했다.

    여가부 박난숙 청소년가족정책실장은 "최근 매체 환경변화가 가속화되면서 청소년들은 더 어린 시기부터 더 많은 시간을 온라인에서 보내고 있고, 마약이나 도박 등 다양한 유해 요인에 노출되고 있다"며 "이번 실태조사 결과 분석을 바탕으로 청소년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정책을 더욱 강화해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