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고진 위원장(좌)과 차인혁 서비스분과위원장(중앙)이 셰이크 파힘 알 카시미 샤르자 정부관계부 위원장(우)을 국제정부소통포럼에서 만나 대화하고 있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 제공 대통령 직속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고진 위원장은 "AI의 여러 가지 위험성 중 대부분이 이미 수면 위로 올라와 있다"며 "인간에게 이롭게 사용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가이드라인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한국 정부는 생성형 AI의 신뢰성을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밝혔다.
디지털플랫폼정부위원회는 14일 고 위원장이 아랍에미리트(UAE) 토후국 중 하나인 샤르자의 사우드 빈 술탄 알 카시미 왕자 초청을 받아 국제정부소통포럼(IGCF)에 참석해 이같이 밝혔다고 전했다.
포럼은 2012년 샤르자 정부 핵심 이니셔티브로 시작해 아랍과 전 세계 정부를 대상으로 정부 간 소통 혁신 등 정책 관련 경험과 미래 전략을 공유하고 교류하는 자리로 지난 13일(현지시간)부터 이틀간 샤르자 엑스포 센터에서 열렸다.
'현재의 자원, 미래의 부'를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에서 고진 위원장은 샤르자 정부를 비롯한 각국의 각료와 글로벌 기업인들에게 대한민국의 디지털플랫폼정부 추진 현황과 함께 초거대 인공지능(AI) 등과 관련한 정책 경험을 공유했다.
포럼에서 고 위원장은 "AI 가이드라인 제정에 있어 정부가 가장 핵심적인 역할을 해야 한다. 이를 위한 세계 각 국의 경쟁이 매우 치열하다"면서 "한국 정부는 생성형 AI의 신뢰성을 공정하게 평가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