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윤재옥 "중국 억류 탈북민 2600명 강제북송 위험…인권탄압 우려"



국회/정당

    윤재옥 "중국 억류 탈북민 2600명 강제북송 위험…인권탄압 우려"

    윤재옥,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
    중국 '탈북민 강제 북송'을 "인권탄압" 규정
    "석방되도록 최선 다할 것…야당 협력해야"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가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가 20일 국회 본회의에서 교섭단체 대표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국민의힘 윤재옥 원내대표가 20일 국회 교섭단체 대표 연설에서 중국의 탈북민 강제 북송은 '인권 탄압'이라고 규정하며, 이를 막기 위한 야당의 협력을 촉구했다.

    이날 윤 원내대표는 "현재 중국에 억류돼 있는 2600여명의 북한이탈주민(탈북민)들이 북중 국경이 다시 열리면서 북한으로 송환될 위험에 처했다"며 "대규모의 참혹한 인권탄압이 우려된다"고 주장했다.

    이어 "이들이 석방돼 대한민국 및 제3국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정부와 국민의힘은 최선을 다할 것"이라며 "야당의 협력을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앞서 북한은 코로나19가 유행하는 동안 국경을 폐쇄했다가 지난달 말부터 다시 개방하기 시작했다. 해외 노동자와 유학생, 외교관 등의 귀국을 공식 승인한 것이다.

    이에 중국 정부는 중국 내 억류 중인 탈북민들에 대해서도 북한으로 돌려보내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탈북민 출신 국민의힘 지성호 의원에 따르면 중국 내 억류 중이며 강제 북송 위기에 놓인 탈북민만 약 2600명 이상이다.

    지 의원은 지난 12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그간 중국에 억류 중이던 2600명의 강제북송이 초읽기에 들어갔다. (시기는) 항저우 아시안게임 직후가 될 것이 유력하다"며 "아시안게임으로 국제적 이목이 중국에 집중된 지금이 강제송환을 저지할 골든타임"이라고 지적한 바 있다.

    중국 내 탈북민들의 강제 북송을 막기 위한 움직임은 세계 곳곳에서도 일어나고 있다. 지난달 체코 프라하에서 개최된 'IPAC'(Inter-Parliamentary Alliance on China) 정상회의에서 채택된 '2023 IPAC 공동선언문'에는 "우리(각 회원국) 정부가 중국에 탈북민 송환 중단을 촉구하는 외교적 노력을 기울이도록 압력을 가한다"는 이행 결의가 포함되기도 했다.

    IPAC에서 중국 내 탈북민 인권 문제가 논의된 건 이번 프라하 회담이 처음이다. 이를 이끌어 내는 데에는 지 의원의 역할이 주요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우리나라는 IPAC 미가입국으로 소속 국회의원의 참가가 제한되지만 북한 인권 분야 전문성을 인정받아 특별 초청받은 지 의원은 정상회의 연설에서 "탈북민들이 인간으로서 존엄을 잃지 않도록 도와달라"고 호소한 것으로 전해졌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