히타카쓰 나오키 일본 쓰시마시장이 27일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의회에서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 문헌조사에 응하지 않겠다고 말하고 있다. 연합뉴스부산에서 50㎞ 정도 떨어져 있는 일본 쓰시마섬(대마도)에 원자력 발전에서 나오는 고준위 방사성폐기물 처분장을 건립하려던 계획이 중단되게 됐다.
히타카쓰 나오키 쓰시마시장은 27일 시의회에 방사성폐기물 처분지 선정을 위한 정부 문헌조사에 응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혔다.
일본 언론은 사용후 핵연료에서 재사용할 수 있는 우라늄이나 플루토늄 등을 제거한 뒤 남은 고준위 방사성폐기물을 '핵쓰레기(核のごみ)'로도 표현중이다.
문헌조사는 핵쓰레기 처분장 선정을 위해 거쳐야하는 3단계 절차 가운데 첫 절차로 지도와 자료 등으로 후보지의 적합성을 판단한다.
이어 굴착한 암반을 분석하는 개요조사, 지하 시설을 설치해 적합성을 판단하는 정밀조사를 거친다.
일본에서는 핵쓰레기 처분장은 지하 300미터 이상의 깊이에 조성하도록 법을 통해 규정하고 있다.
나오키 시장의 이날 발표는 지난 12일 쓰시마시의회가 문헌조사를 수용해 달라는 지역 단체의 청원을 찬성 10표, 반대 8표로 채택한 것을 뒤집은 결정이다.
문헌조사 수용 여부에 대한 최종 결정권자는 시장에게 있으므로 이날 발표는 최종적인 것이다.
히타카쓰 시장은 이날 문헌조사 불수용 이유를 설명하면서 쓰시마섬의 주요 산업인 수산업과 관광업에 '소문(풍평) 피해'가 많이 발생한다는 점을 언급했다.
쓰시마섬은 1945년 원자폭탄이 투하된 나가사키현에 속해있는 지역이라 소문 피해에 대한 지역의 심리적 위축이 다른 곳보다 더 크다.
히타카쓰 시장은 이어 "한국인 관광객의 감소 등에 큰 영향을 줄 우려가 있다"고 말했다. 쓰시마섬 관광객은 2018년 기준으로 전체 75%가 한국인으로 파악됐다.
그는 특히 "훗날 예상 밖의 요인에 의한 위험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지진 등으로 인해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것도 배제하지 못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쓰시마섬 주민들은 20년 만에 30%나 인구가 줄어드는 등 지역 생존에 위기감이 고조되자 20억엔(180억원)의 정부 교부금을 받을 수 있는 핵쓰레기장 유치방안을 논의하기 시작했다.
한편, NHK는 '핵쓰레기'에 대해 "재사용할 수 없는 방사성 물질을 포함한 폐액을 유리와 섞어 굳힌 것이며 '유리고화체'라고도 불린다"고 소개했다 .
이어 "만들어진 초기에는 사람이 가까워지면 10여 초 만에 죽음에 이르는 수준의 매우 강한 방사선을 내며, 수명이 긴 방사성 물질을 포함하므로 사람의 생활환경으로부터 수만 년에 걸쳐 격리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