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꾸준히 증가하는 보복범죄…강력범죄 피해자는 주로 여성



국회/정당

    꾸준히 증가하는 보복범죄…강력범죄 피해자는 주로 여성

    보복 범죄, 2018년 264건→2022년 403건으로 증가 추세
    특히 살인·감금 피해는 여성이 80%이상 차지해
    보복범죄로 이어질 수 있는 스토킹 피해 접수도 폭증 수준
    이성만 "보복 범죄에 대한 보다 엄정하고 엄격한 수사 필요"


    '신당역 스토킹 살인범' 전주환에게 보복살인 혐의로 지난주 무기징역이 확정된 가운데 최근 7년간 이같은 보복범죄 발생 건수가 꾸준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보복 살인·감금 등 강력범죄 피해자는 주로 여성에 집중된 것으로 파악됐다.
     
    18일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무소속 이성만 의원실이 경찰청으로부터 제공받은 '보복범죄 발생 현황' 자료에 따르면 보복범죄 발생 건수는 2018년 264건→ 2019, 2020년 293건→ 2021년 415건→ 2022년 403건으로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다. 지난 8월까지 집계된 이번 해 보복범죄 발생 건수도 이미 315건에 달하는 것으로 파악됐다.
     
    집계된 전체 사례 중 주된 피해자는 여성이었다. 해당 기간 동안 경찰이 집계한 보복범죄 사건(1668건) 가운데 여성 피해자가 발생한 경우는 937명으로 전체의 약 56% 수준이었다. 특히 보복 살인·감금 등 강력범죄의 경우 여성 피해자의 비율이 급격히 증가했다. 보복 감금 사건은 해당기간 동안 총 11명의 피해자가 발생했는데, 모두 여성이었으며 보복 살인도 총 12건 중 9명이 여성 피해자였다.
     
    지난해 발생한 전체 범죄사건 가운데 피해자가 여성인 사건이 28.9%였다는 점을 감안하면, '보복범죄'에서 여성 피해자 비율이 월등히 높은 수준이다. 또한 보복범죄로 이어질 우려가 있는 스토킹 범죄 신고 건수도 2019년 5468건에서 꾸준히 증가해 2022년 2만9565건으로 4배 가량 폭증하는 등 증가 추세를 보이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한편 보복범죄 유형 별로는 협박(49.5%)이 가장 많았고, 폭행(20.1%), 보복범죄(19.6%)가 뒤를 이었다.
     
    이성만 의원은 "지난해 신당역 살인사건에 이어 올해 또 발생한 인천스토킹 살인사건처럼, 스토킹 범죄의 특성상 보복범죄로 이어질 우려가 크다" 며 "그런 만큼, 수사당국과 사법부가 보복범죄에 대해 보다 엄정하고 엄격한 수사를 해줄 것을 촉구한다"고 지적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