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모습. 황진환 기자공매도 전면 금지 시행 하루 만인 7일 주가가 곤두박질쳤다. 주식시장 이상과열을 이끌던 이른바 '숏커버링' 효과가 단 하루 만에 식어가는 모습이다.
여권에서 잇따라 꺼낸 '총선용 포퓰리즘(인기 영합주의)' 정책의 부작용이 예상보다 일찍 찾아온 것으로 보인다. 김포시 서울 편입 이슈도 여권 내 백가쟁명 바람이 불면서 난관을 만난 상황이다.
하루 만에 반락..숏커버링 일단락 조짐
7일 오전 서울 중구 하나은행 딜링룸 모습. 황진환 기자코스피는 이날 2443.96포인트로 마감했다. 전날 기록했던 역사상 최대 오름폭(△134)의 절반에 가까운 58.41포인트를 반납한 것.
코스닥의 경우 급락세가 워낙 강해 오전 한때 '매도 사이드카(매도호가 일시효력정지)'가 발동됐다. 전날 매수 사이드카가 있었던 것과 비교하면 하루 만에 냉온탕을 오간 셈이다.
이는 공매도 금지 직후 외상값, 즉 빌려서 판 주식을 갚기 위해 사들이는 '숏커버링' 효과가 예상보다 빨리 소멸할 수 있다는 관측에 무게를 싣는다.
실제 공매도가 몰렸던 2차전지 관련 종목이 일제히 급락했으며, 전날 1조원대 순매수를 기록했던 외국인 투자는 이날 순매도로 돌아섰다.
미국발 이슈, 즉 미국 금리 인상이 사실상 끝났다는 기대감이 나오면서 최근 다른 아시아 국가 증시가 대체로 강세를 보이는 것과 상반하는 모습이다.
개장 직전까지 자화자찬하던 여당
연합뉴스공매도 금지 시행을 이끌었던 여당에서도 효과가 이렇게 단명하리라곤 예측하지 못했던 모양이다.
국민의힘 이만희 사무총장은 이날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전날 주가 급등세를 언급하며 "공매도 금지 조치가 국민들에게 우려보다는 기대를 낳고 있다는 방증"이라고 밝혔다.
당의 싱크탱크인 여의도연구원의 직전 원장인 박수영 의원은 페이스북에 공매도 금지 첫날 주가 급등세를 언급하며 "한 젊은 투자자 커뮤니티에서는 대문 사진이 윤석열 대통령으로 바뀌고 여당을 칭찬하는 글이 도배됐다고 한다"고 추켜세우기도 했다.
그러나 이런 평가는 주가 급락으로 반나절 만에 설득력을 잃게 되는 모습이다.
김포 서울 편입 이슈도 난관에
여권이 강서구청장 선거 패배 이후 내년 총선을 준비하기 위해 급히 기획한 다른 이슈들이 대체로 이런 식이다. 화제를 이끄는 데는 성공한 반면 시장을 혼란하게 하거나 부작용만 키운 경우가 있었다.
가장 모양을 구겼던 이슈는 이른바 대사면. 당사자인 이준석 전 대표, 홍준표 대구시장이 크게 반발하면서 외려 김재원 전 의원 총선 출마 길만 터주는 결과를 낳았다.
김포시 서울 편입 이슈도 난관에 봉착해 있다. 논의가 여권 내부에서도 백가쟁명식으로 퍼지는 바람에 당장 여론을 모아내기 어렵게 됐다.
당 지도부가 '뉴시티 프로젝트 특위'라는 걸 구성하면서 분위기를 띄우고 있지만 여기에 반하는 목소리가 튀어나오기 시작한 것.
일단 오세훈 서울시장의 경우 '공동연구반'이라는 이름의 TF를 꾸리면서 표면적으로는 판을 키운 모습이지만 "총선 이후까지 논의를 긴 호흡으로 가져가는 게 좋다"고 밝히면서 신중한 태도를 이어갔다.
그런데 "실현 가능성 없는 정치쇼다(유정복 인천시장)", "지방 불균형을 어떻게 해소할 건지 청사진이 먼저 나와야 한다(김태흠 충남지사)", "대한민국의 경쟁력을 갉아먹는 것(서병수 전 부산시장)" 등 엇갈린 목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왼쪽)과 김병수 김포시장이 6일 오후 서울 중구 서울시청에서 김포시의 공식적인 서울 편입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만나고 있다. 윤창원 기자
당내에선 '문제될 것 없다'며 전국 이슈로 거듭 키우는 분위기지만 복잡한 속내가 읽힌다.
뉴시티 특위 소속 한 의원은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이렇게 백가쟁명으로 가면 대응하기가 어렵다"면서 "지하철 5호선을 둘러싼 김포-인천 갈등을 중심으로 논의를 잘 풀어가겠다"고 말했다.
문제는 앞으로도 이런 류의 총선용 정책이 거듭 발표될 예정이라는 점. 김기현 대표는 이날 비공개 지도부 회의에서 "우리가 정책적 이슈를 계속 끌고 갈 것이니 아이디어를 적극 제기해 달라"고 당부한 것으로 전해졌다.
여권의 다음 타선은 은행의 이익 환수 방안이 꼽힌다. 역시 '반짝 이슈'에 그치지 않기 위해서는 그 취지나 지지도만큼 정책 효과에 대한 다각적 검증이 필요해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