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부동산발 금융불안 확산…건설업 연체액 2년간 3배 급증



금융/증시

    부동산발 금융불안 확산…건설업 연체액 2년간 3배 급증

    지방·중소저축은행 부동산PF 부실채권도 위기감
    연체율 추가 상승 우려…금융시장 불안
    한은 "금융 불균형의 누증은 부동산 중심으로 진행"

    연합뉴스연합뉴스
    부동산 경기 침체와 고금리 기조가 이어지면서 주요 은행의 부동산·건설 관련 대출 부실 위험성이 커지고 있다.

    부동산·건설 대출 부실이 결국 우리 금융시장 전반의 위기로 이어질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중은행 건설업종 대출잔액 급증…연체액·연체율도 동반 상승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5대 시중은행(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의 건설업종 대출 잔액은 11월 말 현재 모두 23조2387억원으로 지난해 말(20조3915억원)보다 14%(2조8472억원) 증가했다.

    바로 전년도인 2021년 말(15조9704억원)과 비교하면 2년 사이에 46%(7조2683억원) 늘어났다.

    건설업 대출 연체액은 올 11월 기준 1051억원으로 지난해 말(524억원)의 두 배 수준이다. 2021년 말(330억원)과 비교하면 3.2배로 치솟았다.

    연체액 기준이 아닌 연체율로 따지면 2021년 말 0.21%, 2022년 말 0.26%, 올해 11월에는 0.45%로 꾸준히 증가세다.

    고금리 속 부동산 경기 자체가 냉각되면서 연체액과 연체율 모두 우상향 추세다.

    한 시중은행의 경우 건설업종 연체율이 올 9월 말 0.83%로 전체 13개 업종 중 가장 높았다. 1년 전보다 0.36%포인트 증가한 수치다. 상승폭 기준으로는 연체율이 0.27%에서 0.77%로 높아진 숙박·음식업(0.50%포인트) 다음으로 컸다.

    한은 통화신용정책보고서 "금융 불균형 누증이 부동산이 핵심"


    연합뉴스연합뉴스
    한국은행 역시 부동산·건설 관련 부문 대출 집중 문제와 향후 부실 가능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한은은 최근 '2023년 12월 통화신용정책보고서'를 통해 "과거 사례에 비춰 국내 금융 불균형 누증에서 부동산이 핵심 메커니즘으로 작용했다는 점에서 관련 정책은 긴 시계에서 일관되게 수립·시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한은은 당시 "우리나라 금융 불균형의 누증은 부동산을 중심으로 진행돼 자원배분의 효율성 저하, 부동산 경기에 대한 경제 취약성 등 부작용을 초래했다"고 지적하기도 했다.

    한은 조사 결과 전체 금융기관의 건설업·부동산업 대출 연체율은 올해 2분기 말 1.75%로 전년 동기(0.72%) 대비 2.4배로 급증했다.

    부동산 경기 침체 속 중소·지방 저축은행 PF '비상'


    시중은행의 건설·부동산업 연체율 상승과 별도로 중소·지방 저축은행의 부동산 PF 부실도 금융건전성 악화 요인으로 꼽힌다.

    한국신용평가(한신평)가 최근 발간한 '저축은행 업계 사각지대 점검' 보고서에 따르면, 신용평가사의 신용등급을 보유하고 있지 않은 저축은행 47곳의 부동산 PF 고정이하여신비율은 2021년 말 1.3%에서 올해 6월 말 6.5%까지 약 5배나 상승했다.

    한신평에 따르면 47곳 중 43곳은 자산 규모 1조원 미만이고, 이 중 29곳은 5000억원 미만이다. 30곳은 지방에서 영업을 하고 있다.

    자기자본 대비 PF 대출과 건설업(브리지론 포함 추정) 비중이 100%를 넘는 저축은행도 30곳에 달했고 이 중 4곳은 200%를 넘어섰다.

    한신평은 보고서에 "지방 건설업체의 폐업과 부도가 증가하고 있는 상황을 고려할 때 지방·중소형 저축은행 건전성에 추가적인 부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지적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