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박형대 전난도의원, '농업재해보험 제도개혁 촉구 건의안' 발의



광주

    박형대 전난도의원, '농업재해보험 제도개혁 촉구 건의안' 발의

    표고버섯 등 재해보험 보장품목 확대·사회보험 전환 요구

    전남도의회 박형대 의원(진보당,장흥 1)이  23일 열린 전남도의회 제377회 제1차 임시회에서 '농업재해보험의 사회보험 전환과 보장 품목 확대 등 제도개혁 촉구안'을 대표 발의하고 있다. 전남도의회 제공전남도의회 박형대 의원(진보당,장흥 1)이 23일 열린 전남도의회 제377회 제1차 임시회에서 '농업재해보험의 사회보험 전환과 보장 품목 확대 등 제도개혁 촉구안'을 대표 발의하고 있다. 전남도의회 제공
    전남도의회 박형대 의원(진보당,장흥 1)이 대표 발의한 '농업재해보험의 사회보험 전환과 보장품목 확대 등 제도개혁 촉구안'이 23일 열린 전남도의회 제377회 제1차 임시회에서 의결됐다.
     
    현행 농업 재해 대책은 '농어업 재해 대책법'에 의한 보조와 지원 및 '농어업 재해 보험법'에 근거한 농작물 재해 보험, 가축 재해 보험 등의 정책 보험으로 이뤄져 있다. 대표적으로 농작물 재해 보험은 보험료를 정부 50%, 지자체 20~30% 지원하고 보험사 운영비를 100% 지원하고 있으며 2023년에는 1조 212억 원의 재정이 투여됐다.
     
    하지만, 현행 재해보험은 농협 등 보험사에 맡김으로써 농업인에 대한 혜택보다는 보험사의 이익에 쓰여지고 있고, 농작물의 가입 대상 품목과 가입 지역의 제한으로 보험에 가입조차도 못하는 부당함에 노출되어 있는 실정이다.
     
    실제로 표고버섯은 2013년 농작물 재해 보험 대상 품목으로 지정되었지만, 시설 재배만 가능하고, 노지 표고버섯은 해당되지 않아 올해 1월 대표적 표고버섯 주산지인 장흥군에서 동해 피해가 발생했어도 농민들은 그 피해를 고스란히 감당할 수밖에 없게 됐다.
     
    박형대 도의원은 "품목, 품종, 지역, 면적 등의 조건에 따라 재해보험 가입 여부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농민이라면 누구나 보호 받을 수 있는 사회 안전망이 작동되어야 한다"며 "특히 노지 표고버섯 등 농업 현장에서 요구되는 품목 확대가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또한 "재해 피해를 본 농민이 피해보상을 실질적으로 받고, 모든 농민이 제도의 혜택을 받도록 '농업재해보험'을 '사회보험'으로 전환해 국가의 책임성을 강화하는 농업재해 종합대책을 마련해야 한다"며 정부에 촉구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