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나혼자산다' 10명 중 8명 고독사 위험…중·고위험군 22.4%



사건/사고

    '나혼자산다' 10명 중 8명 고독사 위험…중·고위험군 22.4%

    1인 가구 상실감, 고립 정도, 이동성 등 평가해 점수
    고독사 중·고 위험군 남성 60.9%…50대 24.6%
    임시직·일용직 50.7% 가구소득 200만 원 이하 63%


    혼자 사는 사람 10명 중 8명은 혼자 쓸쓸히 생을 마감하는 '고독사' 위험군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보사연)이 설문조사를 통해 1인 가구의 상실감, 일상생활의 고립 정도, 이동성 등을 평가해 점수를 매긴 결과다. 1인가구의 4~5명 중 1명은 이 중에서도 고독사 위험 정도가 큰 '중·고위험군'으로 분류됐다.

    28일 보건복지부와 보사연의 '2022년 고독사 예방 실태조사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1인가구 9471명에 대해 설문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 중 2.6%가 고독사 고위험군으로, 19.8%가 고독사 중위험군으로 평가됐다. 저위험군은 56.4%였다.

    저위험군에서 고위험군까지 고독사 위험군은 모두 78.8%었고, 이 중 저위험군을 제외한 중·고위험군은 22.4%였다. 고독사 위험군에 속하지 않은 경우는 21.2%에 불과했다.

    연구진은 △실패·상실감 누적 △고립적 일상 △사회적 고립 △이동성 높은 생애 △돌봄과 지원 중단 등 5가지 지표로 고립 정도를 파악해 100점 만점으로 점수를 매겨 고독사 위험 정도를 평가했다.

    예를 들어 이별, 자녀사망, 실직, 실패 등의 경험이 많고 식사 횟수, 외출 횟수, 지인 소통 횟수 등이 적으면 위험도에서 높은 점수를 줬고, 복지서비스나 돌봄(간병) 서비스 중단을 경험하거나 이사 횟수가 많을 때는 위험도가 큰 것으로 봤다.

    연구진은 고독사 위험군 가운데 중·고위험군에 대해 심층조사를 실시했는데, 심층조사 대상은 남성이 60.9%로 여성보다 많았고, 연령대별로는 50대 24.6%, 60대 23.4%, 40대 16.2% 순이었다.

    임시직과 일용직인 경우가 50.7%로 절반을 조금 넘었고, 가구소득이 200만 원 이하인 저소득층이 63.0%를 차지했다. 혼자 거주한 기간이 10년 이상인 경우가 45.5%였으며 남성의 91.6%와 여성의 84.3%는 공공서비스를 받지 않고 있다고 답했다.

    19.7%가 지난 1년간 입원한 경험이 있었고, 4.0%는 혼자서는 일상생활을 하기 어려운 상황이었다. 지난 1년간 자살계획을 한 적 있다는 응답은 18.5%였고, 자살시도를 한 적 있다고 답한 경우도 6.4%나 됐다.

    고독사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고독사는 가족, 친척 등 주변 사람들과 단절된 채 사회적 고립상태로 생활하던 사람이 자살·병사 등으로 임종을 맞고, 시신이 일정한 시간이 흐른 뒤 발견되는 죽음을 뜻한다.

    복지부의 고독사 실태조사에 따르면 고독사 수는 2017년 2412명, 2018년 3048명, 2019년 2949명, 2020년 3279명, 2021년 3378명 등으로 5년간 평균 8.8% 늘었다. 남성이 특히 연평균 10.0% 늘어 증가세가 가파랐다. 연령대별로는 60대가 이 기간 한 해 평균 18.5%씩이나 증가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