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사과·배'로 촉발된 물가상승, 언제 끝나나…정부 연일 대책 발표

  • 0
  • 폰트사이즈
    - +
    인쇄
  • 요약


경제정책

    '사과·배'로 촉발된 물가상승, 언제 끝나나…정부 연일 대책 발표

    핵심요약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 예정없던 긴급 브리핑 가져
    할인지원에 더해 남품단가 지원도 병행, 3~4월에 434억 투입
    사과에는 선별, 운송비도 추가 지원, 10% 정도 추가 할인 기대
    생산량 30% 감소에 도매가는 130% 폭등, 송 장관 "유통비용 낮추는 노력도 하겠다"
    "사과 수입은 상대국과의 검역 절차로 당장은 어려워"
    이달 중 중장기 대책인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 발표

    가파르게 오른 사과 가격. 연합뉴스가파르게 오른 사과 가격. 연합뉴스
    사과와 배 가격으로 촉발된 전반적인 농산물 가격 상승에 관계부처는 전전긍긍이다.
     
    주무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통계청이 2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한 6일에 이어 7일 아침에도 농축산물 수급동향과 대응방안 관련 보도자료를 냈고 장관이 이날 오후 직접 긴급 브리핑을 갖기도 했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대로 떨어진 지 한 달 만에 다시 3%대로 확대됐는데 농식품 가격이 오르며 전체적인 물가 상승의 주 요인으로 분석됐기 때문이다.
     

    지난해 사과, 배 생산량 30% 감소, 가격은 130% 폭등

    사과‧배의 2월 소비자물가는 전년 동월 대비 각각 71.0%, 61.1% 증가했다.
     
    7일 농식품부에 따르면 2월 하순 사과 가격은 도매의 경우 10kg당 6만5595원으로 전년 대비 124.4% 올랐다. 배는 8만6461원으로 139.4%나 폭등했다.
     
    다만 소매가는 사과의 경우 10개에 2만9295원으로 전년 대비 27.3%, 배는 4만1262원으로 41.8% 각각 상승했다. 이는 정부와 유통업체의 할인 등이 반영된 데 따른 것이다.
     
    사과와 배 가격이 폭등한 이유는 지난해 생산량이 감소한 탓이다.
     
    박종민 기자박종민 기자
    봄에는 저온피해, 여름철에는 잦은 비와 고온 등 이상기후 여파로 사과는 생산량이 전년 대비 30%, 배는 27% 각각 감소했다.
     
    그러나 생산량 감소분 이상으로 시중가격이 폭등하면서 소비자들이 인식하는 체감물가는 더 높은게 현실이다.
     
    생산량은 30% 정도 줄었는데 가격(도매가)의 경우 감소분의 4배 정도인 130% 올랐기 때문이다.
     
    관련해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농산물 시장의 특수성 때문으로 보인다"며 "농산물 온라인 도매시장 확대 등 유통비용을 낮추기 위한 노력도 함께하겠다"고 강조했다.
     

    정부, 할인지원과 납품단가 지원에 434억원 투입

    정부는 물가상승률을 다시 2%대로 끌어내리기 위해 당장 농식품을 대상으로 물가안정 대책을 추진한다.
     
    그동안 주로 시행했던 할인지원에 더해 납품단가 지원도 병행한다.
     
    우선 할인지원으로 3월과 4월에 당초 계획대비 86억원 증액한 230억원을 투입한다. 사과와 배를 포함한 가격 강세 품목이 대상이다.
     
    납품단가 지원은 204억원을 투입해 사과, 딸기 등 13개 과일, 채소를 대상으로 추진한다.
     
    품목별 지원금액은 kg당 토마토 1800원, 딸기 1600원, 사과와 참외, 오이 등은 1000원씩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
    특히 사과의 경우, 1000톤을 대상으로 산지 선별‧운송비를 추가 지원한다. 농식품부는 이럴 경우 사과 소비자가격이 10% 이상 추가로 낮아질 것으로 예상했다.
     
    수요 분산을 위해 수입과일에 대한 할당관세 품목도 확대한다. 기존 바나나‧오렌지‧파인애플‧자몽‧망고‧아보카도에 이어 만다린과 두리안을 추가했다.
     
    특히 바나나와 오렌지는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직수입을 통해 민간 가격 인하를 유도하기로 했다.
     

    물량도 부족하고 수입도 안돼 사과 가격 상승은 가을까지 이어질 전망

    하지만 공급량이 부족한 사과와 배의 가격 상승은 가을철 햇과일이 출하될 때까지 이어질 전망이다.
     
    가뜩이나 지난해 생산량이 줄어든 상황에서 지난 설 명절을 앞두고 물가 부담 완화를 위해 공급을 늘리면서 현재 저장 물량은 턱없이 부족한 상황이다.
     
    사과는 다른 과일과 달리 당장 수입으로 대체할 수도 없어 당분간 소비자들의 물가 부담은 불가피할 전망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농식품부는 현재 사과 검역의 경우 11개 나라와 진행중이며, 검역 8단계 가운데 일본이 5단계로 가장 앞서 있다고 밝혔다. 하지만 이마저도 2015년 중단됐다.
     
    검역이 승인되는 기간이 평균 8.1년 소요되는 점을 감안하면 현재 사과 수입은 기약이 없는 요원한 상태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검역은 병해충 관련 위험 분석 등 상대국과 거쳐야 할 절차가 많아 기간이 오래 걸리고 이도 철저하게 전문가 영역"이라고 강조했다.
     
    이에 따라 농식품부는 향후 차질없는 과일 수급을 위해 단기와 중장기로 나눠 과수대책을 추진한다는 방안이다.
     
    우선 단기대책으로 올해 과수생육관리협의체 구성을 통해 냉해예방약제 공급, 과수 화상병 궤양 제거 등을 추진했으며 매주 기상상황과 품목별 발아‧개화 시기 등을 모니터링하고 있다.
     
    중장기 대책으로는 이달 중 '과수산업 경쟁력 제고 대책'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다. 여기에는 이상기상 등 기후변화에도 안정적으로 과일을 생산할 수 있는 기반 구축 방안 등이 포함될 전망이다.
     
    송미령 장관은 "사과와 배의 생산량 감소로 빚어진 가격 상승이 다른 품목에 까지 확대되면서 국민에게 심려를 끼쳤다"며 "이런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생산부터 유통까지 철저히 챙기고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정책수단을 집중하겠다"고 강조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NOCUTBIZ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