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한국 '유리천장 지수' 12년째 꼴찌…"일하는 여성에 가혹"



국제일반

    한국 '유리천장 지수' 12년째 꼴찌…"일하는 여성에 가혹"

    英 이코노미스트 '유리천장 지수' 발표
    한국 OECD 29개국 중 12년째 최하위

    스마트이미지 제공스마트이미지 제공
    한국이 12년 연속 선진국 29개국 가운데 일하는 여성에게 가장 가혹한 국가로 꼽혔다.
     
    3월 8일 '여성의 날'을 앞두고 영국 시사주간지 이코노미스트가 6일(현지시간) 발표한 유리천장 지수(The glass-ceiling index)에서 한국은 조사 대상 29개국 중 29위를 기록했다.
     
    이코노미스트는 2013년부터 일하는 여성의 노동 참여율, 남녀 고등교육·소득 격차, 여성의 노동 참여율, 고위직 여성 비율, 육아 비용, 남녀 육아휴직 현황 등의 지표를 반영해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을 대상으로 해마다 유리천장 지수를 발표하고 있다.
     
    1위는 아이슬란드가 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차지했다. 스웨덴, 노르웨이, 핀란드가 그 뒤를 이어 북유럽 국가가 일하는 여성에게 전반적으로 우호적인 환경을 갖춘 것으로 평가됐다.
     
    5~10위는 프랑스, 포르투갈, 폴란드, 벨기에, 덴마크, 호주가 차지했다. 오스트리아, 스페인, 뉴질랜드, 캐나다, 슬로바키아, 이탈리아, 체코가 그 뒤를 이었다.
     
    19위인 영국부터 그리스, 독일, 미국, 네덜란드, 헝가리, 이스라엘 등 11개국은 OECD 평균을 하회했다. 특히 스위스(26위), 일본(27위), 튀르키예(28위)는 한국과 함께 수년째 최하위권에 머물고 있다.
     
    한국 지표를 보면 대부분 바닥권이다.
     
    연합뉴스연합뉴스
    남녀 소득 격차는 31.1%로 최하위를 면치 못했다. 여성의 노동참여율은 남성보다 17.2%포인트 낮아 튀르키예, 이탈리아에 이어 27위를 기록했다.
     
    관리직 여성 비율, 기업 내 여성 이사 비율 모두 28위다. OECD 평균 관리직 여성 비율은 지난해 33.8%에서 올해 34.2%로 올랐다. 특히 스웨덴, 미국, 폴란드는 40%가 넘었다. 
     
    그러나 한국(16.3%)과 일본(14.6%)에서 그 비율은 실망스러운 수준이라고 이코노미스트는 전했다. 기업 여성 이사 비율은 OECD 평균 33%였지만, 한국은 12.8%에 불과했다.
     
    이코노미스트는 한국 여성이 다른 선진국 여성보다 심각한 소득 불평등을 겪고 있으며 노동시장에서 소외당하고 사회적 권한 역시 작다는 점을 보여준다고 지적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