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유료방송 재허가 제도 폐지…콘텐츠 제작비 30% 세액 공제



대통령실

    유료방송 재허가 제도 폐지…콘텐츠 제작비 30% 세액 공제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위, 규제 개선 방안 확정
    케이블·IPTV 등 유료방송 재허가 제도 폐지
    지상파·종편 재허가·승인 유효기간 5년→7년
    대기업 방송 소유·겸영 규제완화 추진
    1조원 'K-콘텐츠' 펀드 조성

    미디어·콘텐츠산업 융합 발전 위원회. 연합뉴스미디어·콘텐츠산업 융합 발전 위원회. 연합뉴스
    정부가 국내 케이블방송, IPTV 등 유료방송에 대한 재허가 제도를 폐지하고, 지상파와 종합편성 채널에 대한 허가·승인 유효기간은 현재 5년에서 7년으로 늘린다.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를 최대 30%까지 늘리고 1조원 규모의 민관 합동 'K-콘텐츠·미디어 전략펀드'도 마련한다.

    국무총리 산하 미디어·콘텐츠산업융합발전위원회는 13일 한덕수 국무총리가 정부서울청사에서 주재한 전체회의에서 이 같은 내용의 규제 개선 방안을 확정했다.

    한 총리는 회의 모두 발언에서 "낡은 방송 규제를 전면 재검토해 불필요하거나 산업 성장을 가로막는 규제는 과감히 폐지하거나 개선하겠다"며 "유료방송의 재허가·재승인제를 폐지하고, 규모 있는 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시장 점유율 규제를 폐지하겠다"고 밝혔다.

    유료방송 재허가·재승인 폐지. 국무조정실 제공유료방송 재허가·재승인 폐지. 국무조정실 제공
    이에 따라 정부는 IPTV·케이블·위성·홈쇼핑 등 유료방송에 대한 재허가·재승인 제도를 폐지하기로 했다. 현재 유료방송 사업자는 7년마다 정부의 사업 재허가·재승인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앞으로는 기존 허가·승인의 유효기간을 폐지해 불필요한 심사 부담을 덜어주겠다는 것이다. 장기적으로는 유료방송 허가·등록제를 등록·신고제로 완화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지상파방송과 종편·보도 채널의 경우 재허가·재승인 제도를 유지하되, 최대 유효기간을 현행 5년에서 7년으로 늘린다. 이를 통해 사업자 부담을 줄이고 장기적인 사업 기반을 마련해주겠다는 취지다.

    대기업 등이 일정 수준 이상 방송 지분을 가질 수 없도록 한 소유·겸영 규제를 푸는 방안도 추진한다. 지분 소유 제한 대상인 대기업 기준을 완화하는 방안을 추진하는 것은 2008년 이후 16년 만이다.

    방송 소유·겸영 규제 완화. 국무조정실 제공방송 소유·겸영 규제 완화. 국무조정실 제공
    현재 자산총액이 10조원 이상인 대기업은 일정 비율(지상파 지분 10%, 종편·보도 채널 30%)이 넘는 방송사 지분을 소유할 수 없는데, 앞으로는 관계 법령상 자산 기준을 상향해 대기업의 방송 진출 문턱을 낮추겠다는 것이다. 구체적인 대기업 기준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일정 비율에 연동해서 정할 방침이다.

    외국인의 경우 공익성 심사를 전제로 일반 방송채널사용사업자(PP)와 홈쇼핑 채널의 지분 소유 제한 규제를 푸는 방안도 마련한다. 아울러 △일간 신문(뉴스통신)의 케이블·위성방송·IPTV 지분 소유 제한 규제 폐지 △중소·지역방송 겸영 규제 완화, 광고규제 특례 도입, 순수 외주제작 규제 완화 등을 검토한다.

    이밖에 한 사업자가 유료방송 가입자의 3분의 1(일반 PP는 매출액 49%)을 넘길 수 없도록 하는 시장 점유율 규제, 유료방송의 70개 이상 채널 운용 의무와 1개국 수입물 편성·오락물 편성 규제도 폐지한다.

    위원회는 또 프로그램 편성 시간의 20% 이하로 제한된 광고 시간 총량 규제를 풀기로 했다. 현재 7개인 광고 유형은 3개로 단순화해 관리하고, 어린이 보호를 위해 고열량·고카페인 식품 광고 시간 등을 제한한 광고 관련 규제도 완화할 방침이다.

    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국무조정실 제공영상·콘텐츠 제작비 세액공제. 국무조정실 제공
    드라마·영화 등 영상 제작자에 대해서는 제작비의 최대 30%를 세금에서 감면한다. 영상 콘텐츠 제작비에 대한 기본 세액공제율을 현재 3~10%에서 5~15%로 올리고, 제작비의 국내 지출 비중에 따라 최대 15%의 추가 공제 혜택을 주는 방식이다. 중소·중견기업이 영상 콘텐츠 문화산업 전문회사에 투자한 금액의 경우 3%의 세제 혜택을 신설한다.

    정부는 또 1조원대 'K-콘텐츠·미디어 전략 펀드'를 조성해 국내 콘텐츠 제작사를 지원한다.

    아울러 토종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의 해외 진출을 지원하기 위한 스마트TV 전용 채널을 확대하고, 미디어·콘텐츠 분야에서는 오는 2026년까지 전문 인력 1만명을 육성하는 한편, 콘텐츠 불법 유통을 근절하기 위한 종합 대응 시스템을 구축하기로 했다.

    한 총리는 "이번 정책안은 미디어·콘텐츠 업계, 학계 등 민간 전문가와 관계 부처가 함께 만든 종합전략으로, 개별 부처가 단독 추진하기 힘든 핵심 정책 방안을 담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며 "관계 부처는 후속 조치에 만전을 다해 달라"고 당부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