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문학과지성 시인선' 통권 600호…"세계 독자들과 함께 읽는 책"



책/학술

    '문학과지성 시인선' 통권 600호…"세계 독자들과 함께 읽는 책"

    연합뉴스 연합뉴스 
    한국 현대 시의 반세기 흐름을 짚어내며 시인선 양대 산맥으로 꼽히는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통권 600호를 맞았다. 1978년 시인 황동규의 '나는 바퀴를 보면 굴리고 싶어진다'를 시작으로 46년 만이다.

    문학과지성사가 3일 펴낸 시인선 600호 책인 '시는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간다'는 501번째 시집 이원의 '사랑은 탄생하라'에서부터 599번째 이장욱의 '음악집'에 이르기까지 모두 99편의 시집 뒤표지 글을 묶은 선집이다.

    문학과지성사 시인선(문지 시인선)은 최근 500호를 맞은 '창비 시인선'과 함께 한국 현대 시 문학을 대표하는 시인선이다. 뒤표지 글은 문지 시인선의 독특한 정체성을 이루는 부분이다. 통상 외부인사의 추천이나 책의 주요 부분 발췌가 들어가는 뒤표지에 시인의 전하는 말(시의 말)을 담는 것은 다른 시인선에서는 찾아보기 어려운 형식이다.

    1978년 시인선 첫 주인공인 황동규 시인은 시집 '오늘 하루만이라도'(시인선 548번)의 뒤표지 글에서 "살면서 힘들었던 일들, 특히 이즈음 몸이 속을 바꾸며 도드라지게 드러나는 일들을 시로 변형시켜 가지고 가고 싶다. 가지고 가다니, 어디로? 그런 생각은 지난날의 욕심이 아닌가? 그래? 그렇다면 못 가지고 가는 시를 쓰자"며 노년의 복잡한 심경을 담았다.

    그런가 하면 미국의 권위 있는 출판상인 미국 전미도서비평가협회(NBCC)상 시 부문을 수상해 주목을 받은 김혜순 시인은 문지 시인선 567번 시집인 '지구가 죽으면 달은 누굴 돌지?' 시의 말을 통해 "우리가 이 세상에서 사라지면, 명사가 아니라 형용사나 부사, 접속사의 상태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보기도 한다. 명사나 대명사에 달라붙지 않게 된 그들의 무한한 자유, 그들의 합종연횡, 내게서 떠난 이들도 형용사나 부사, 접속사의 모습으로 지금의 나를 감싸고 있다고 생각해본다"고 썼다.

    이런 '시의 말'들을 엮은 문지 시인선 600호의 제목 '시는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간다'는 고(故) 허수경 시인이 2005년 펴낸 시집 '청동의 시간 감자의 시간'의 뒤표지글 중 "말은 나를 데리고 어디로 가고 말은 나를 끌고 당신에게로 가곤 했다"는 문장에서 착안해 지었다.

    이광호 문학과지성사 대표는 600호를 기념해 돌아본 500호까지의 특징에 대해 "젊은 여성 시인들의 엄청난 약진이 눈에 띈다"며 "1970년대에는 (남녀 시인 비율이) 8대 1이었는데, 2010년대 1.7대 1을 거쳐 2020년대 이후로는 여성 시인이 35명, 남성 24명으로 역전이 일어났다"고 평가했다.

    600호까지 문지 시인선에 참여한 시인은 지금까지 시인 총 244명에 달한다. 해외 출판·문학계와 독자층의 관심도 높아졌다. 황지우의 '어느 날 나는 흐린 주점에 앉아 있을 거다'(1998)가 2003년 독일에서 번역 출간된 이래 황동규, 정현종, 이성복, 김혜순, 최승자, 진은영 등 36명의 시인들 작품이 해외에서 번역 출간됐다.

    올해 전미 도서비평가협회상 수상으로 한국 문학의 새 역사를 썼다는 평가를 받는 김혜순 시인의 '날개 환상통'(2019)은 김 시인 등단 40주년에 맞춰 문학과지성사에서 출간된 그의 열세 번째 시집이다.

    이광호 대표는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동시대 세계 독자들과 함께 읽는 책이 됐다고 감히 말할 수 있다"며 "젊은 독자들이 끊임없이 유입되고 젊은 시인들이 계속 탄생하고 있기에 문학과지성 시인선이 지속될 수 있었다"고 말했다.



    ※CBS노컷뉴스는 여러분의 제보로 함께 세상을 바꿉니다. 각종 비리와 부당대우, 사건사고와 미담 등 모든 얘깃거리를 알려주세요.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