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일 오후 서울시내 음식거리. 연합뉴스소비자물가가 2021년 이후 지난달까지 13% 가까이 뛰면서 민간 소비 증가율도 5%포인트(p)나 떨어졌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특히 고령층과 청년층, 저소득층이 소비가 물가 상승에 큰 타격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이 27일 공개한 '고물가와 소비:가계 소비 바스켓·금융자산에 따른 이질적 영향'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2021년 이후 올해 4월까지 소비자물가 누적 상승률은 총 12.8%(연율 3.8%)로 2010년대 평균(연율 1.4%)의 두 배를 웃돌았다.
반대로 민간 소비는 올들어 다소 회복됐지만 여전히 2015~2019년 추세를 크게 밑돌고 있다.
또 가계의 소비 지출 품목은 연령과 소득 수준 별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은 분석 결과, 2020~2023년 고령층과 저소득층이 체감하는 실효 물가 상승률이 각각 16%, 15.5%로 청·장년층(14.3%)과 고소득층(14.2%)보다 높았다. 물가상승률이 높은 품목을 많이 소비하는 고령층 및 저소득층 가계일수록 실제 체감하는 실효 물가상승률이 더 높아 물가의 영향을 많이 받았다.
특히 고령층의 경우 대체로 부채보다 금융자산을 많이 보유한 계층이어서, 물가 상승에 따른 자산 가치 하락 경로로도 부정적인 영향을 받았다.
한은이 물가 상승의 소비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한 결과 물가상승은 2021~2022년 중 실질구매력 축소 등을 통해 소비증가율을 약 4%p씩 낮췄고, 금융자산 실질 가치 훼손은 약 1%p씩 소비증가율을 낮췄다.
정동재 한은 거시분석팀 과장은 "2021년 이후 빠르게 상승한 물가는 민간소비를 상당폭 둔화시킨 것으로 판단된다"며 "다만 물가 상승에 큰 영향을 받은 가계에서는 공적 이전소득 증가, 금리 상승에 따른 이자소득 증가 등이 물가의 부정적 영향을 다소 완화시켰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고물가는 가계의 실질 구매력을 떨어뜨릴 뿐 아니라 취약층의 경제적 어려움을 가중하는 부정적 재분배 효과도 있는 만큼 물가 안정 기조를 유지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