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가 7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윤창원 기자더불어민주당의 정년 연장 논의 개시 발언에 대해 국민의힘이 "앞에선 포용과 통합을 외치지만 뒤에서는 세대갈등을 조장하고 있다"고 비난했다.
국민의힘 권성동 원내대표는 7일 국회에서 열린 당 원내대책회의에서 "국민을 혼란케 하는 민주당 이재명 세력의 갈지 자(之) 행보가 연일 이어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권 원내대표는 "정년에 도달하면 청년층보다 3배 가까운 보수를 받게 된다"며 "현행 노동시장 임금체계를 바꾸지 않고 정년 연장만 시행하면 청년층 고용이 타격을 입을 수밖에 없다"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당(국민의힘)은 정년 연장의 필요성은 공감하지만 임금체계 개편, 고용유연성 확보 등 노동개혁을 함께 하는 고용 확장이 필요하다 보는 것"이라며 "2030 청년들이 공정하다고 받아들일 수 있는 노동계획이 전제된 정년 연장이어야만 청년층과 중장년층이 '윈윈'(win-win)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권 원내대표는 이번 민주당의 제안이 "작년 말부터 민주노총이 고용형태를 유지하면서 정년 연장을 주장한 것과 결을 같이 한다"며 "민주당의 노동개혁 없는 정년 연장 논의는 최근 우클릭 행보에 대한 '민주노총 달래기용'이자 노조 간부들의 기득권 연장 목적에 불과하다"고 맹비난에 나서기도 했다.
앞서 민주당 진성준 정책위의장은 전날 국회 기자간담회에서 "국민의 기대 수명이 늘고 있고 저출생 위기에 봉착해 생산 가능 인구와 노동력 부족 문제가 사회·경제문제로 대두되고 있다"며 "최근 급속한 고령화와 저출생으로 국민적 요구가 높아지고 있는 법정 정년의 연장을 논의하는 문제도 이제 시작할 때가 됐다"고 말했다.
진 정책위의장은 "현행 정년 제도를 고수하게 되면 정년 퇴임과 연금 수령 시기 사이에 5년여 간의 공백을 메우기가 어렵다"며 민주당이 공약한 국민연금 수급 연령에 맞춘 단계적 정년 연장을 중소기업부터 시작해 적용하자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