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북 전주를 시작으로 전국의 지방의회가 대형마트 등의 영업일을 제한하는 조례 제정에 나서면서 주요 유통업체가 긴장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영업 제한의 부당성을 주장하면서 소비자 불편과 고용 감소 등을 거론하지만 기업의 최대 목표가 이윤추구라는 점에서 대형마트가 가장 우려하는 것은 결국 매출이나 이윤 감소로 여겨진다.
이른바 ''강제 휴무일''이 전국으로 확산하면 매출은 어느 정도 감소할까.
변수가 많아 아직 업계의 공식 전망치 등은 없는 상태지만 대형마트의 요일별 매출 구성비를 토대로 대강의 주판알을 튕겨볼 수는 있다.
한국체인스토어협회가 발간하는 유통업체연감에 따르면 2010년 기준으로 대형마트의 매출은 일요일에 20.2%가, 토요일에 19.6%가 발생한다.
평일은 요일에 따라 11.1∼13.7%를 기여하고 있다.
통계청이 조사한 전국 대형마트의 작년 매출액 합계는 약 36조8천억원이다.
이를 토대로 매달 일요일 가운데 이틀을 꼽는다면 (연간 24일) 이때 이뤄진 매출액은 약 3조4천214억원이다.
또 매달 일요일 하루와 평일 가운데 하루를 골라(연간 24일) 해당 일자의 매출액을 합하면 어림잡아 2조6천592억(화+일)∼2조8천709억원(금+일)이 된다.
가능성이 희박하지만 매달 일요일 하루와 토요일 하루를 꼽으면 이날에 대응하는 매출액은 약 3조3천706억원이다.
대형마트의 영업이익률은 경제 상황이나 업체에 따라 다르지만 7% 안팎이다.
이를 고려한다면 이들이 주장할 수 있는 강제 휴무에 따른 영업이익 감소분은 휴무일에 따라 1천461억~2천395억원이 되는 셈이이다.
그러나 이 액수가 다 이익 감소로 이어진다고 보기도 어렵다.
특정일에 영업하지 않으면 이날 발생할 매출이 전부 사라지는 것이 아니라 전후로 분산될 것이기 때문이다.
일요일에 대형마트가 쉬면 소비자는 토요일로 장 보는 날을 바꿀 수 있다는 것이다.
사실상 연중무휴로 영업하다 쉬는 날이 생기면 상품 보관 및 유통에서 규모의 경제 효과가 줄어 단위 물류비용이 일부 증가할 수는 있다.
반면 고용 감소가 예상되고 이에 따라 전체 인건비는 줄어드는 등 앞서 제시한 액수보다 실제 이익 감소는 적을 것으로 예상된다.
주요 유통업체는 매출 감소 등을 우려하면서도 중소상인의 반발에 직면할 가능성도 있어 개별 대응을 하기보다는 한국체인스토어협회 등이 나서서 자신을 대변해 주기를 바라고 있다.
대형마트의 한 관계자는 "휴무일 강행으로 실제 어떤 영향이 있을지는 아직 속단하기 어렵다"며 "유통산업발전법에 대한 헌법소원 제기 등이 거론되지만 직접 나서기는 어렵고 한국체인스토어협회를 통해 추진할 것 같다"고 분위기를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