ㅁㄴㅇ
소득과 지역에 따른 학생들의 ''영어 격차''가 심각한 수준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영어 격차는 취업 때 굴레가 되고도 있다.
KDI(한국개발연구원) 김희삼 연구위원이 4일 내놓은 ''영어교육 투자의 형평성과 효율성'' 보고서에 따르면, 영어 사교육 참여율의 경우 월 소득 100만원 이하 가구의 학생은 20%이지만 500만원 이상 가구 학생은 70% 수준이다.
처음으로 영어 사교육에 참여한 시기를 두고는 지역별 격차가 두드러진다.
서울 강남권은 절반의 학생이 초등학교 입학 전에 영어 사교육을 받기 시작했고, 비강남권은 40%의 학생이 3학년 이후에야 사교육을 받았다.
사교육을 받은 적 없다는 초등학생은 강남권에서 단 한 사람도 없었고, 비강남권에서 그 비율은 13.6%였다.
영어 학습시간에 있어서도 하루 2시간 이상 공부한다는 초등학생들 비율은 강남권에서 70% 이상이지만 비강남권에서는 20%에 그쳤다.
강남권에서 하루 4시간 이상을 영어 공부에 투자한다는 초등학생 비율도 20%에 육박했다.
서울과 수도권의 초등학생 238명을 대상으로 2009년 3월 벌인 설문조사 결과다.
영어 능력 면에서도 계층간 지역간 차이가 큰 것으로 나타났는데, 김희삼 위원은 "소득에 따른 수능성적 차이는 수학 국어보다 영어에서 두드러지고 대졸 청년층의 토익점수에서도 부모의 교육 및 소득 수준, 대학 소재지 등에 따라 체계적 차이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러한 영어 격차에 따른 압박은 취업 단계에까지 이어진다.
영어 능력 향상을 위해 다른 분야에서의 희생까지 감수하는 것으로, 대학생의 68.8%(공학계열은 72.4%)는 영어 공부에 대한 부담으로 다른 공부나 활동에 지장을 받고 있다고 답했다.
이를 반영하듯 대학생들은 채용의 3대 기준을 영어능력-출신대학-업무관련 경험 순으로 꼽았지만, 정작 기업들은 인성적성-전공학과-영어능력 순으로 꼽아 구인·구직자 사이 인식차가 드러나기도 했다.
또 영어에 대한 투자가 많고 그 능력도 높은 경영 사무 관련 직종은 오히려 영어의 업무 활용 빈도가 낮고, 이공·의약 계열은 업무상 필요한 정도에 비해 영어 능력이 떨어지고 투자가 부족한 불일치도 나타났다.[BestNocut_R]
김희삼 연구위원은 이에 대해 "기업은 요구하는 인재상에 대한 구체적 시그널을 제공해 대학의 교육과 학생의 취업 준비를 생산성 향상에 도움이 되는 실무역량 쪽으로 유도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영어교육 투자의 형평성과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초·중등학교, 대학, 기업, 정부 각 부문의 합리적이고도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