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수엑스포장 전경(사진=박형주 기자)
여수엑스포가 막바지로 접어들면서 엑스포 이후 사후활용에 대해 관심이 집중되는 가운데 사후활용이 민간자본 유치에만 치중해 공공적인 부분이 간과되고 있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정부는 그동안 여수엑스포장 조성과 운영에만 2조 1천억 원, 고속도로와 철도 등 주변 SOC까지 합하면 11조 원에 달하는 예산을 투자했다. 그만큼 공공재로서의 성격이 강하다.
그러나 현재 정부가 다음달쯤 확정을 목표로 검토하고 있는 엑스포 사후활용 계획에는 이같은 공공재적인 성격보다는 민간자본에 넘기려는 의지가 강력하다.
국토해양부가 25일 국회에서 열린 엑스포 사후활용 세미나(주관 민주통합당 김성곤 의원)에서 밝힌 추진 방향을 보면 이같은 의지는 매우 명확하다.
사후활용 추진방향에는 세계적인 해양복합관광리조트 건설을 목표로 국제관과 아쿠아리움, 빅-오 등 핵심콘텐츠의 관광상품화와 크루즈 관광, 요트/마리나, 씨푸드 식당가 조성 등 온통 해양관광과 관련된 언급 뿐이다.
특히 사후활용 주체에 있어 공공은 토지와 건물 등을 관리하고, 민간이 주도적으로 개발 운영하는 체제 등을 검토하고 있어 사실상 공기업이 아닌 이상 민간 기업 주도의 사후활용이 예고되고 있다.
이렇게 될 경우 수조 원의 혈세를 들여 조성한 엑스포 인프라가 고스란히 민간 기업의 배를 불리는데 넘어갈 가능성이 크다. 더욱이 대전의 사례처럼 엑스포장이 시장성을 확보하지 못하게 되면 수년 뒤에는 기업이 발을 빼 애물단지로 전락할 수 있다. 여수지역의 입장에서 보면 엑스포 행사만 치르고 수년 뒤엔 애물단지만 짊어질 가능성이 큰 것이다.
이에 따라 여수엑스포의 공공재적인 성격을 지속적으로 유지하기 위해 사후활용 계획에 주제에 맞춰 해양관련 정부 기구나 해양 연구 시설 설치 계획을 담아야 한다는 주장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이번 세미나에서 여수엑스포 시민포럼 이상훈 사무처장은 "공공적 성격의 주제 구현을 위해 정부의 선도적인 투자가 앞서야 한다"며 "국립해양체험단지나 국제적 녹색기구 사무국, 여수프로젝트 실천 기구 등을 엑스포 시설로 활용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국관광공사 김재호 전문위원도 선진화된 해양기술 연구와 관광레저가 어우러진 ''Blue-port'' 실현을 주문했고, 전남대학교 이정록 교수는 이 ''Blue-port'' 실현을 위해서는 연구개발 관련기관 유치가 필수적이라고 역설했다.[BestNocut_R]
대전이 엑스포 시설은 실패사례로 보고되고 있지만, 엑스포 이후 대덕연구단지 등 과학산업의 중심지로 발전했듯 여수도 엑스포 이후 주제인 해양 관련 공공기관을 설치해 해양엑스포의 유산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지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