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혼에 따른 노산 등 고위험 산모가 늘어나면서 아이를 낳다가 사망하는 산모 숫자도 증가추세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새누리당 김희국(대구 중‧남구)의원이 보건복지부로부터 제출받은 임산부 현황자료에 따르면, 35세 이상 고령 임산부는 2008년 전체 산모중 14.3%인 6만 6500명이던 것이, 2012년엔 전체 전체의 18.7%인 9만500여명으로 급증한 것으로 조사됐다.
지역별로 보면, 제주도가 전체산모 중 21.7%로 고령임산부 비중이 가장 높았고, 서울 21.7%, 경기도 19.6%, 부산 19.2%, 인천 18.7%, 대구 18.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노산 등 고위험 산모가 늘어남에 따라 산모사망자도 매년 늘어 최근 4년간 263명의 산모가 사망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 2009년 60명이던 것이 2010년 74명, 2011년 81명으로 늘었다가 2012년에는 48명으로 다소 주춤한 상태다.
김희국 의원은 “2010년 현재 미국은 전문의 중 산부인과 전문의 비중이 4.2%인데 반해 우리나라는 2012년현재 8.0%에 이르는데도, 분만할 산부인과가 없는 시군구가 많은 것도 원인으로 작용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전국적으로 분만 가능한 산부인과가 없는 시군구는 46개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에 따르면 2013년 6월 현재 분만가능한 산부인과가 없는 지역의 경우 경남이 7개(고성군, 남해군, 신청군, 의령군, 창녕군, 하동군, 함안군, 함양군, 합천군), 전남이 7개(곡성군, 구례군, 담양군, 보성군, 신안군, 장성군, 함평군), 경북(고령군, 군위군, 봉화군, 영양군, 의성군, 청도군), 전북(고창군, 순창군, 완주군, 임실군, 장수군, 진안군), 충북(괴산군, 단양군, 보은군, 옥천군, 음성군, 증평군)이 각각 6곳으로 조사됐다.
이어 강원도가 5곳(고성군, 양양군, 인제군, 평창군, 화천군), 경기도가 2곳(과천시, 의왕시), 부산이 2곳(강서구, 기장군)으로 뒤를 이었다.
김 의원은 “산부인과가 없거나 분만실이 없는 시군구에 개설하는 산부인과나 분만실에 대해서는 수가를 차등 적용한다던가, 다른 인센티브를 부여하는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지원정책 마련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한편 보건복지부는 고위험 산모‧신생아가 늘어나고 있는 것과 관련해, 2014년에 2개소에 대해 시범적으로 설치 운영하고, 오는 2017년까지 17개 권역에 통합치료센터를 설치‧운영한다는 계획이다. {RELNEWS: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