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란코프 "북한서 신흥 부유층·부르주아 계급 부상"

미국/중남미

    란코프 "북한서 신흥 부유층·부르주아 계급 부상"

    "부유층 구성, 당간부·정부관료 등에서 민간 기업가로 확대"

     

    북한 사회에 민간 시장이 활성화하는 등 자본주의 요소가 강화되면서 신흥 부유층과 부르주아 계급이 형성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북한 문제 전문가인 안드레이 란코프 국민대 교수는 14일(현지시간) 미국 매체인 NK뉴스에 기고한 글에서 이같이 평가했다.

    그는 "최근 북한의 겉모습은 과거와 다를 바 없이 스탈린식 사회주의를 유지하는 것처럼 보이지만 북한 관리들이 감출 수 없는 것이 있다. 바로 사적(私的) 경제의 번창과 그 결과물인 유·무산 계층 간 격차 확대"라고 지적했다.

    초기 단계인 `북한 자본주의'가 상당한 물적 불평등을 초래하고 있다는 것이다.

    란코프 교수는 "북한 주민 대다수는 여전히 가난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지만, 꽤 부자인 주민도 많으며 이들 신흥 부유층은 죄다 관료들이 아니라 재산 규모가 미국 돈으로 수십만달러에 달하는 거부도 있고 재산을 많이 모은 중산층 기업가도 상당하다"고 주장했다.

    1990년대 중반까지만 해도 부유층은 당 간부나 정부 관료가 대부분이었고, 이들은 넓은 아파트에 살면서 돼지고기를 먹고 컬러TV를 보는 등 상대적으로 잘 먹고 잘 입는 것을 효과적으로 감췄기 때문에 일반 주민을 이를 거의 눈치 채지 못했다.

    하지만 지금은 신흥 부유층이 자가 승용차를 몰고 평양 시내 고급 식당에서 엄청난 돈을 내고 외식하는 것을 모든 주민이 알고 있다고 란코프 교수는 설명했다.

    누가 새로 뜨는 부유층이고 이들이 어디서 어떻게 돈을 버는지 등에 대한 믿을 만한 통계는 없으나 이를 뒷받침할 증거는 많다고도 했다.

    란코프 교수는 부유층은 직접 뇌물을 받거나 부패의 한 형태인 국영 기업 운영을 통해 부를 쌓는 관리들이나 1990년대 대기근 때나 그 직후 한몫 잡은 민간 기업가들이 상당수를 차지한다고 밝혔다.

    또 가족 월수입이 300∼400달러를 초과하면 꽤 부유한 편이고 수천달러를 넘으면 아주 부유한 편으로 분류된다는 것이다.

    북한에서 사업에 성공하려면 관리들과 우호적인 관계를 유지해야 하기에 이들 대부분은 평양에 거주하며 중국 접경 지역과 같은 다른 대도시 등에 사는 경우도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