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여기만 피하면 돼요”..음주단속 정보 제공 앱 부작용 우려



대전

    “여기만 피하면 돼요”..음주단속 정보 제공 앱 부작용 우려

    사용자들 음주단속 정보 공유...경찰 “역기능 우려”

     

    “술 때문에 판단력이 흐려져서인지 표시된 곳만 피하면 되겠다 싶더라고요”

    직장인 박모(32) 씨는 최근 부서 회식을 마치고 평소에 하지 않던 음주운전을 해서 집으로 돌아왔다.

    함께 회식을 마친 직장동료는 “보여줄 것이 있다”며 음주운전 단속구간이 표시된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 화면을 박 씨에게 보여줬고 박 씨는 무엇인가에 홀린 듯 운전대를 잡았다.

    박 씨는 “집에 도착하고 보니 내가 무슨 짓을 한 건가 싶더라”며 “단속구간을 피한다고 하더라도 음주 교통사고를 낼 수도 있는 건데 안일하게 생각한 것 같다”고 말했다.

    술자리 등 모임이 잦은 연말을 앞두고 지역의 주요 음주단속 구간이 스마트폰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공개되고 있어 음주운전을 부추기고 있는 게 아니냐는 지적을 낳고 있다.

    앱 측은 단속구간 정보 공유가 음주운전에 대한 경각심을 갖는 취지라고 설명하지만, 정확하지 않은 단속정보는 되레 음주운전을 부추길 수 있다는 우려로 이어지고 있다.

    최근 출시된 이 음주단속 정보 앱은 대전·충남지역을 시·군별로 나눠 GPS를 통해 사용자 주변 등 수십 곳에 대해 음주단속 지점을 공개하고 있다.

    앱 사용자들이 운전을 하거나 길을 가다 음주단속 장면을 목격하면 앱이 제공하는 지도에 지점을 표시하고 또 다른 사용자들도 정보를 공유하는 방식이다.

    모든 음주단속 지점을 표시하는 것은 아니지만, 단속을 하고 있는 지점과 과거에 했던 지점, 단속이 잦은 지점 등이 노출되면서 음주단속을 피해갈 여지를 주고 있다.

    앱 측은 “사용자들 간의 자발적인 단속정보 교류를 통해 음주운전을 미연에 방지한다”고 설명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곧 술을 먹은 운전자들이 앱을 통해 단속지점을 확인하고 운전대를 잡을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경찰도 음주단속 지점 자체가 워낙 유동적이기 때문에 확인되지 않은 음주단속 정보는 되레 음주운전을 부추길 수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