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크라이나를 발칵 뒤집은 반정부 집회가 열흘 넘게 계속되는 이유는 뭘까?
지난달 21일 유럽연합(EU)과의 협력 협상이 돌연 무산되자 시민들이 거리로 뛰쳐나왔다는 사실이 답변의 실마리다.
EU로의 통합은 옛 소련의 전체주의 잔재가 강한 우크라이나에 근본적 변화를 뜻한다.
법률과 경제 제도를 EU 기준으로 바꿔야 해 해묵은 압제와 부정부패 관행에 메스를 대야 한다.
이런 '유럽 지향' 혁신에 대중의 기대감이 컸던 만큼 협상을 갑자기 무산시킨 현 정권에 대한 분노는 2004년 오렌지 혁명 이래의 최대 집회로 폭발했다.
◇ 젊은 층 변화 갈망 커
이번 시위는 언론인과 민족주의 운동가, 권투 챔피언 등 각양각색의 인사들이 전국에서 푸른색 EU 깃발을 흔드는 집회를 이끌면서 빅토르 야누코비치 대통령의 퇴진을 촉구하고 있다고 미국의 일간 워싱턴포스트와 시사지 애틀랜틱이 3일 전했다.
한국외대 우크라이나어과의 홍석우 교수는 "역동적 국민과 낡은 정치 제도가 충돌한 것이 핵심"이라며 "친(親)러시아 성향에 기득권을 누린 구세력이 유럽 통합과 이에 따른 변화를 반대해 젊은 층의 분노가 특히 크다"고 설명했다.
야누코비치 대통령은 시위가 격화하자 2일 EU와의 경제·정치 협력 협상을 재개한다고 밝혔으나 '위기모면용 속임수'란 비난이 빗발친다.
구세력인 집권층이 오랜 우방인 러시아를 버리고 유럽을 택할 가능성이 거의 없기 때문이다.
특히 야누코비치 대통령과 여당의 정치적 본거지는 소련 시절 러시아의 지원으로 중화학 공장과 항만이 들어서면서 개발 혜택이 쏠린 동남부 지역이다.
이 때문에 이 지역에서는 관세동맹을 맺고 러시아 경제권에 더 깊게 편입되는 것이 EU 통합보다 이익이라는 주장도 강하다.
◇ 갈등 장기화 가능성
우크라이나의 친러시아 여론은 노년층의 높은 지지를 바탕으로 전 국민의 50%에 달한다고 많은 전문가는 분석한다.
결국 거리를 장악한 시위대와 친러파의 지지율이 50:50 정도로 '팽팽한 줄다리기'를 하는 셈이라 이번 갈등은 장기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예측이 많다.
9년 전 오렌지 혁명 같은 극적 변화 없이 야누코비치 정권과 시위대 사이에 지루한 공방이 이어질 수 있다는 것이다. 제도권 야당의 정치력이 미약해 조기 대선과 정권 교체 가능성도 속단이 어렵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