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사진은 기사와 무관함. (자료사진)
올해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이 8%나 폭등해 노동자 평균 임금 인상률 보다 2배, 저축성 수신금리에 비해선 3배 이상 급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전세는 보통 2년 단위로 계약함에 따라 내년에 전세집을 얻어야 하는 무주택 서민들의 경우는 올해 인상분까지 떠안아 '전세폭탄'이 될 것으로 우려된다.
◈ 뛰는 전세값에 기어다니는 월급한국감정원이 27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23일 기준 전국의 아파트 전세가격은 전주 보다 0.24% 상승해 70주 연속 오름세를 이어갔다. 특히 지난해 말에 비해선 7.96% 상승했다.
이같은 전세가격 상승폭은 지난 1일 한국경영자총협회가 발표한 올해 기업 평균 임금 인상률 4.0%보다 2배나 큰 것이다.
또 한국은행이 집계한 9월중 예금은행의 저축성 수신금리 2.64% 보다는 3배나 많았다.
◈ 월급 오르면 뭐하나…전세비 대기도 어려운데최근 LG 경제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전국 평균 전세가격은 9,300만원으로 지난해보다 가구당 평균 720만 원 정도의 전세비 추가 부담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반해 올해 2분기 기준 도시근로자 평균소득은 연간 5천330여만 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5천120여만 원 보다 4%인 210만원 정도 증가하는데 그쳤다.
또 통계청이 발표한 지난 3월말 기준 우리나라 가구당 평균 금융자산 8천700만원에 대한 이자수입(평균 금리 2.64% 적용)은 229만원에 불과했다.
이를 단순 비교하면, 무주택 서민들이 1년 동안 열심히 일하고 재테크를 해서 440만 원 정도의 추가 수입을 얻었지만 전세값 인상분 720만 원을 충당하기에 역부족이었다는 얘기이다.
여기에 소비자물가 상승과 대출이자 등을 감안하면 무주택 서민들은 올해 전세값 마련을 위해 가구당 최소 350만 원 이상 빚을 진 것으로 추산된다.
◈ 내년에도 전세값 마련 쉽지 않다최근 한국감정원은 정부와 공공기관, 부동산전문가, 공인중개사 등 모두 962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벌인 결과, 내년도 아파트 전세가격이 올해 보다 최소 3.2% 이상 오를 것이라는 전망치를 내놓았다.
여기에 전세는 보통 2년 단위로 계약한다는 점을 감안하면 내년에 전셋집을 구해야 하는 무주택 서민의 경우 올해 폭등한 전세값을 고스란히 떠안아야 한다는 점에서 부담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도시근로자 임금 인상액과 금융 이자소득은 올해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는 내년도 공기업 임금 인상률을 2% 후반대로 가이드라인을 정해 놓았다.
일반 기업의 경우도 노동조합 단체들은 내년도 임금 인상률을 7%대를 주장하고 있지만 한국경영자총협회 등 사측은 최대 3%까지 선을 긋고 있다.
통상임금이 적용돼도 올해 평균 임금인상률 4%를 맞추기가 어렵다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