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동서통합지대 조성계획에 존재감 없는 광양시



경인

    동서통합지대 조성계획에 존재감 없는 광양시

    지리적 중심이지만 단독 사업 1건에 불과해

     

    최근 박근혜 정부의 대선공약인 동서통합지대 조성 계획 청사진이 발표된 가운데, 지리적으로 중심 위치해 있는 전남 광양에 이렇다 할 사업 계획이 포함되지 않아 행정적 대응이 미흡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국토교통부는 지난달 30일 제3차 국토정책위원회에서 동서통합지대 조성 기본 구상을 보고하고 이를 토대로 사업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국토부는 전남 동부의 광양과 구례, 순천, 여수, 경남 서부의 하동과 남해, 진주, 사천 등 영호남 8개 시군으로 사업 범위를 설정하고, 오는 2020년까지 국비와 지방비, 민자 유치 등 약 8,660억 원을 투입해 산업육성과 문화교류, 연계교통망 확충 등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국토부는 5개 분야 43개 대상 사업을 선정해 발표했다. 여기에는 광양과 하동을 연계해 추진하는 섬진강 뱃길 복원 및 수상레저 기반 조성, 하늘길 동서케이블카 설치, 문화예술회랑지대 조성, 동서통합교량 건설 등 공동사업 8건이 포함됐다.

    그러나 섬진강과 광양만 등 동서 간 공유지역의 대부분을 연접하고 있는 광양시와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단독 사업은 신소재 관련 연구기관 유치 1건에 불과하다.

    하동군은 해양 플랜트 신산업벨트 조성, 진주시와 사천시는 항공산업 거점 확충, 고흥군은 우주항공산업 기반 확충 등 굵직한 사업들이 추진된다. 여수시는 광양만 일대 국제수준의 해양관광지대 육성 계획의 허브 역할이 주어졌고, 순천시는 생태관광공원 조성을 통한 체류형 관광지 조성이 계획에 포함됐다.

    그러나 광양시가 단독 사업으로 제안한 이순신대교 주탑전망대 조성사업, 동서화합 힐빙(heal-being) 관광벨트 사업, 섬진강매실공동마케팅 사업, 광양항 배후단지 내 지식산업 센터 건립, 섬진강 문화예술 힐링 관광단지 조성사업, 광주과학기술원 분원 설치 등 7개 사업은 계획에서 빠졌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