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시리아 국제평화회담, 22일 스위스서 개막



중동/아프리카

    시리아 국제평화회담, 22일 스위스서 개막

    • 2014-01-21 18:37

    시리아 정부-반군, 24일 처음으로 협상 개최

     

    시리아 내전 해법을 논의하는 국제평화회의인 이른바 '제네바-2 회담'이 22일(현지시간) 스위스 몽트뢰에서 개막한다.

    유엔이 주최한 이 회담에는 39개국과 4개 국제기구가 참여해 2012년 6월 1차 제네바 회담에서 합의한 과도정부 수립의 후속 조치를 논의할 예정이다.

    회담은 초청국 전체가 참여하는 국제회의와 시리아 정부와 반정부 단체 간 양자회의로 나뉘어 진행된다.

    국제회의는 22일부터 몽트뢰의 한 호텔에서 막을 올리며 시리아 내전 발발 3년 만에 처음으로 정부와 반군이 협상 테이블에 앉는 당사자 회의는 24일부터 제네바 유엔본부에서 열린다.

    참가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미국·영국·프랑스·러시아·중국)을 포함해 터키, 요르단, 레바논, 사우디아라비아, 이라크, 아랍에미리트(UAE), 카타르 등 중동 국가들과 한국, 독일, 스위스, 인도, 브라질, 캐나다, 인도네시아, 일본 등 39개국이다.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은 바샤르 알아사드 시리아 대통령의 우방인 이란도 2차 초청국에 포함했으나 이란이 구두 약속과 달리 1차 회담의 합의안을 인정한다는 전제조건 없이 참여한다고 밝히고 서방과 반군 측이 반대하자 제외했다.

    시리아 반정부 연합체인 시리아국민위원회(SNC)는 이란 초청을 철회하지 않으면 회담에 불참하겠다고 반발했으며 유엔의 전격 철회에 회담 참석을 확정했다.

    알아사드 정권을 지지하는 러시아는 이란 초청 철회를 실수라고 지적했으나 파국은 아니라고 밝혔다.

    반 총장은 이번 회담의 목표는 군사·안보기구를 포함해 전권을 행사하는 과도정부 구성 등 2012년 6월 회담에서 합의된 내용을 전면 이행하는 것이라고 밝혔다.{RELNEWS:right}

    그러나 '상호 동의'를 전제로 과도정부를 구성한다는 합의문을 두고 반군을 지지하는 미국 등은 알아사드가 배제돼야 한다는 주장이나 러시아는 반대 의견을 굽히지 않아 이번 회담에서 과도정부 구성 이행안에 합의점이 도출되기 쉽지 않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따라서 최근 미국과 러시아가 논의하고 시리아 정부가 동의한 국지적 휴전과 포로교환, 인도주의적 지원 보장 등의 수준에서 합의점을 찾을 것으로 전망된다.

    시리아는 '아랍의 봄' 당시인 2011년 3월 발생한 반정부 시위가 내전으로 확산해 지금까지 13만명이 숨지고 국내외 난민은 800만명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