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이미지비트 제공)
연립·다세대 주택이 경매 처리되는 건수가 최근 급증하고 있어 여기에 주로 거주하는 저소득 서민층의 주거 안정이 위협받고 있다.
2일 대법원 법원경매정보에 따르면 전국의 연립·다세대 주택 경매건수는 2011년 1만 7335건, 2012년 2만 3129건, 2013년 2만 7164건으로 늘어나 2년새 56.7%의 증가세를 나타냈다.
감정가 대비 매각가인 매각가율은 같은 기간 80.0%에서 72.7%로 떨어졌다.
경매 물건이 크게 늘어나다보니 감정가에 크게 못 미치는 가격에 팔려나가는 셈이다.
반면 아파트 경매건수는 2011년 4만 6549건, 2013년 4만 6611건을 기록하며 별 차이가 없었고 단독주택 경매건수도 거의 같은 수준을 유지했다.
상가 및 오피스텔의 경우는 경매건수가 같은 기간 4만 4704건에서 3만 1295건으로 오히려 감소했다.
이처럼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매건수만 유독 급증하는 것은 은행 대출 등으로 한계상황에 놓인 ‘하우스 푸어’ 가구의 파산이 저소득 서민층부터 시작되고 있음을 뜻한다.
서울지역만 한정할 경우에는 연립·다세대 주택 경매건수가 2010년 3181건에서 2013년 6383건으로 불과 3년만에 2배 이상 늘어났다.
물론 과거에도 경매건수가 급증했던 적은 있다.
전국 연립·다세대 주택의 경매건수는 2004년과 2005년에 각각 10만 9천여건, 10만 6천여건을 기록했다. 지난해의 4배 가까운 수준이다.
하지만 이는 당시 카드대란의 여파와 은행권에서 새 국제회계기준(BIS) 도입에 따른 건전성을 유지하기 위해 경매물건을 양산한 탓이 크다.
무엇보다 당시는 주택가격이 고점으로 치닫는 상황이었다는 것이 지금과 결정적으로 다른 점이다.
부동산태인 정대홍 홍보팀장은 “예전에는 (경매 외의) 다른 방향으로 채권회수를 시도했던 경향이 있는데 최근에 연립·다세대 물건이 많이 나온다는 것은 은행들이 다른 방법을 취할 여유가 없다는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