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uTube 영상보기] [무료 구독하기] [nocutV 바로가기] [Podcast 다운로드]
최근 야생성을 되찾은 유기견(遺棄犬)들이 길고양이를 물어 죽이는 등 활개를 치면서 주민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김혜란(57, 여) 씨는 서울 성북구 동소문동의 자신의 집에서 길고양이들에게 6년째 밥을 주고 있는 일명 '캣맘'이다.
그동안 20여 마리의 고양이들에게 일일이 이름까지 붙여주며 자식처럼 아껴왔던 김 씨는 지난 1월 목격한 장면을 떠올리면 지금도 몸서리가 쳐진다.
평소 고양이들이 밥을 먹으러 오는 새벽 1시쯤 집 밖에서 고양이들의 비명이 들려왔다.
처음에는 고양이끼리 다툼을 벌이는 줄 알고 무심히 넘겼지만, 점차 커지는 소리가 심상치 않았다.
놀란 김 씨가 마당에 나가보니 고양이 한 마리가 피투성이가 된 채 커다란 개들을 피해 필사적으로 담을 기어오르고 있었다.
김 씨가 소리를 지르며 개들을 쫓아냈지만, 이미 내장이 바깥에 드러날 정도로 공격을 받은 고양이의 목숨을 건질 수는 없었다.
알고 보니 이 개들은 주인에게 버려진 유기견으로 어느새 야생성을 회복해 산에서 무리를 지어 다니고 있었다.
이제는 대담하게 주택가까지 내려와 길고양이 서식지 주변에 소변으로 영역 표시를 하면서 길고양이를 사냥감으로 삼고 있는 것이다.
그 뒤로도 개들의 습격은 계속돼 1월 한 달 동안에만 김 씨가 돌보던 고양이 중 6마리가 목숨을 잃었다.
김 씨는 "지난해 12월부터 고양이 사체가 발견됐지만, 워낙 처참해서 차에 치인 줄 알았다"며 "사람이 근처만 가도 도망가던 개들이 이제는 가까이 가서 돌을 던져도 고양이를 놔주지 않는다"고 말했다.
올 들어 동소문동과 정릉 일대에서만 최소 15마리의 고양이가 유기견들에게 물어뜯겨 처참한 시체로 발견됐다는 게 캣맘들의 증언이다.
특히 우려되는 점은 덩치가 작은 어린아이들이 야생성을 되찾은 유기견에게 공격받을 수 있다는 것이다.
한국동물구조관리협회 관계자는 "농촌에서는 야생성을 되찾은 유기견들이 가축을 공격하기도 한다"며 "성북구의 개들이 특별히 광견병과 같은 이상이 있어서 고양이를 공격하는 건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어린아이들은 개들을 경계하지 않는데 아무리 사람이라도 체구가 작으면 개가 공격적으로 대할 수 있으니 조심해야 한다"며 "언제든 인명 피해가 일어날 수 있다"고 주의를 당부했다.
문제는 이 유기견들을 당장 포획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
{RELNEWS:right}관할 구청에도 여러 차례 신고가 들어왔지만, 구청 측은 '별 뾰족한 수가 없다'는 입장이다.
성북구청 관계자는 "출몰 장소나 시간대가 불특정해서 순찰을 해도 포획하기 어렵다"며 "신고를 받고 소방서 등 관계 기관과 함께 출동해도 개들이 도망치기 일쑤"라고 밝혔다.
동물구조협회 관계자도 "유기견은 멧돼지와 같은 유해조수로 지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올무나 사냥용 엽총 등을 사용할 수 없다"며 "포획용 덫이나 입으로 불어서 쏘는 마취 주사를 사용하기 때문에 어려움이 많다"고 설명했다.
포악해진 유기견들이 활개를 치는데도 관리 당국은 '포획이 어렵다'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어 주민들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