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창극, 적임자로 안보여 속상했다
- 김기춘이 좌지우지? 아닌듯
- 인사시스템 투명한 공개 필요해
■ 방송 : CBS 라디오 FM 98.1 (07:30~09:00)
■ 진행 : 김현정 앵커
■ 대담 :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
어제가 새누리당의 7.30 재보궐 선거 후보자 공모 마감일이었습니다. 그동안 소문만 무성하던 주인공들 중에 누구는 맞고, 누구는 틀리고 윤곽이 드러나는 날이기도 했는데요. 물론 전략공천이 남아 있기 때문에 후보 윤곽이 100% 드러난 것은 아닙니다만, 전남 순천에 출마한 이정현 전 수석이라든지 울산에 출마한 이혜훈 최고위원 등등은 마지막 날까지 안개 속에 있었던 인물이기 때문에 어제의 후보 접수가 화제가 되고 있는데요. 두 사람 중에 이혜훈 최고위원 오늘 직접 만나보죠. 이혜훈 최고위원님, 안녕하세요?
◆ 이혜훈> 안녕하세요.
◇ 김현정> 실은 설들이 무성했습니다. '전당대회에 다시 출마를 할 거다','아니다, 정몽준 전 의원 빈자리인 서울 동작을로 출마할 거다' 그런데 결국 울산에 가셨어요?
◆ 이혜훈> 동작은 제가 경선 과정에서 수없이 아니라고 말씀을 드렸는데, 아무도 그 얘기를 안 믿으시는 게 어이가 없었습니다. 제가 정몽준 후보를 지지해 주고 그 자리에 보궐을 가려고 (동작으로) 주소지를 옮겼다, 이사를 갔는데도 끊임없이 '주소지를 옮겼다'는 표현을 쓰시더라고요. 그래서 제가 참 어이가 없었는데, 제가 (동작으로) 이사를 가기 전부터 그리고 이사를 가고 나서 한 달 반이 넘도록 정몽준 당시 의원은 절대로 서울시장 선거에 안 나온다고 인터뷰를 수없이 하고 있었다, 제가 신이 아닌데 어떻게 한 달 반 후에 정몽준 의원이 출마할 것을 미리 알고 내가 그렇게 이사를 갔겠느냐(고) 그렇게 말씀을 드려도 아무도 안 믿으시고. 그래서 참 어이가 없었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동작은 아닌데 왜 울산입니까, 울산은 좀 의외라는 분들 많으세요?
◆ 이혜훈> 그러신가요? 사실은 많은 분들이 모르시는 게 제가 처음 정치를 배우고, 현장정치에 뛰어들고, 그리고 정치에 첫 도전을 한 곳이 울산입니다.
◇ 김현정> 그렇습니까?
◆ 이혜훈> 다들 제가 도전을 해서 실패한 걸 잘 모르시는데 울산에 공천신청을 했다가 첫 도전에서 면접도 못 보고 서류심사에서 공천 낙방을 해서 실패한 적이 있습니다. 그래서 제가 '울산이 저를 받아들여주지 않으니까 다른 곳에 가서 실력도 키우고 좀 더 커서 반드시 제 고향 울산에 언젠가 돌아오겠다' 이런 마음을 먹고 서울에서 정치를 시작했었습니다.
◇ 김현정> 그런데 사실은, 울산 출마가 아니라 선거 치른 지가 얼마 안 되셨기 때문에 전당대회에 다시 출마해서 최고위원 자리 노리지 않겠느냐 혹은 대표를 노리지 않겠느냐 라는 이야기도 있었습니다. 왜 재보궐 출마를 선택하셨습니까?
◆ 이혜훈> 사실 제가 2년 원외인사로서 최고위원을 해 보니까, 저는 당의 변화에 굉장히 목말라 있는 상황인데요. 원외인사로서 최고위원을 하는 상황에서는 좀 한계가 느껴진다,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왜냐하면 저희가 당에 여러 가지 중요한 의사결정, 당론이라고 얘기하는 것에 영향도 미치고 여론을 형성을 주도하고 싶고, 이런 부분이 있는데 많은 경우에 중요한 의사결정이 의총에서 이루어지다 보니까... 원외인사는 의총에 들어가지를 않지 않습니까.
예를 들면 비근한 예로, 이번에 문창극 후보자가 지명이 됐는데 이 문창극 후보자에 대해서 지명을 철회하라든지 사퇴를 하라든지 이런 당론을 형성할 것인가, 아니면 찬성해 주는 당론을 형성할 것인가 이런 것만 하더라도 굉장히 중요한 결정인데 이런 부분들이 최고위원회에서 결정이 되는 경우보다는 주로 의총이나 이런 곳에서 많이 여론이 형성됩니다. 그런데 이런 것은 원외인사로서 참여하기가 어렵고, 배제되는 경우가 많고 여론형성에 역할을 하기가 한계가 많다, 이렇게 생각을 하고 원내복귀가 오히려 더 중요하고 효과적인 것 아닌가, 이런 생각을 했습니다.
7.30 재보선 울산 남구을 출마하는 이혜훈 새누리당 최고위원
◇ 김현정> ‘당 개혁하기 위해서 원내 복귀가 절실하다’는 말씀을 하셨던데 구체적으로 지금 당이 어떻게 개혁을 해야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 이혜훈> 제일 필요하다고 보는 것이, 많은 분들이 새누리당에 답답해하시는 것은 청와대가 어떻게 보면 절대적인 신(神)도 아닌데, 당연히 오류도 있고 실수도 할 수 있는데, 왜 청와대가 하는 일에 대해서 따라가는 그런 모습을 보이느냐, 그런 답답해하시는 부분들이 많은 줄 알고 있습니다. 오히려 국민들의 목소리를 더 전달하는 그런 소극적인 역할을 뛰어넘어서 더 선제적으로, 더 적극적으로 당이 청을 끌고 가는 주도적인 그런 모습을 보여서 당청의 관계가 끌려가는 모습이 아니라 끌고 가는 주도적인 관계로 바뀌어나가야 되지 않느냐 하는 생각을 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그러면 이번에 이 인사 공백을 보면서 답답함 많이 느끼셨겠네요, 원외에서?
◆ 이혜훈> 많이 속상합니다.
◇ 김현정> 어떤 점이 그렇게 속상하셨어요?
◆ 이혜훈> 첫째, 저는 총리 후보자께는 굉장히 외람된 말씀이지만, 지금 세월호 이후에 관피아 척결, 어떻게 보면 부정부패 척결, 국가 대개조... 이런 것이 국민들의 가장 목마른 부분인데, 사실은 그런 부분을 해결할 수 있는 적임자라고 보여지지 않는 분이 내정이 되셨을 때 많이 놀랐고요.
어떻게 보면 관피아라고 하는 이 엄청난 관료조직은 조직을 굉장히 많이 다뤄보시고, 이런 부분을 수술할 수 있는 국정운영의 경험이 풍부하시고 경륜이 있는 분이 저는 총리로 내정될 것으로 예상했고, 그러기를 바랐는데 국정운영에 대한 경험이, 직접 경험은 당연히 없으셨고. 정치권에 오래 몸담았던 인사들처럼 특히 국회에 계시는 분들은 국정운영에 간접 경험이 풍부하신 분이시잖아요. 그런 간접경험조차도 전혀 없는 분이 내정이 되신 거고. 특히 또 조직은 본인 휘하에 10명이나 20명 정도 되는 조직도 거느려보신 적이 없는 것 같은 그런 분이 내정이 되셔서 '과연 이런 분이 이렇게 수십만 명의 어마어마한 결속력을 가진 관피아라는 조직을 대 개조해낼 수 있겠는가' 제가 굉장히 그런 부분에 의구심을 가지고 있었습니다.
◇ 김현정> 그럼 도대체 이혜훈 최고위원이 느꼈던 이런 속상함을 왜 청와대는 못 느꼈을까, 누가 인사를 한 것인가 하는 얘기가 지금 계속 나옵니다. 어떻게 생각하세요?
◆ 이혜훈> 저도 참 답답한 것이 통상적으로 어떤 인사시스템이 굉장히 투명하게 국민들 앞에 공개가 되지 않습니까. 누가 인사에 관여했으며, 어떤 절차에 따라서 했으며, 어떤 기준으로 누구를 선정했는지. 그런데 지금 이것을 사실 제가 잘 모르겠습니다. 지금 여러 언론들이 이런 이런 의혹, 누가 했을 것이다, 비선라인이 있는 것 같다, 아닌 것 같다, 여러 가지 의구심들이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서 속시원한 답을 얻지 못하고 있습니다.
◇ 김현정> 비선 라인이 있습니까, 없습니까?
◆ 이혜훈> 그 부분이 제가 제일 궁금한 부분입니다.
◇ 김현정> 궁금하시다는 얘기는, 투명하지 않다는 얘기는, 결국은 모르는 비선라인이 있다는 얘기네요. 누군지 모르는 비선 라인?
◆ 이혜훈> 제가 정말 답답한 것은 이런 부분부터 명확히 알려졌으면 좋겠다는 거예요. 그리고 이 시스템과 절차와 기준 그리고 참여하는 분들의 구성, 이런 부분들이 좀 더 명확하게 밝혀지고 보완할 점이 있었으면 다 같이 지혜를 모아서 같이 보완하는 방향으로 갔으면 좋겠다, 이런 생각입니다.
◇ 김현정> 이 국정 공백의 책임을 결국 누구든 져야하는 게 아니냐, 그래야 국정이 살아나지 않겠느냐 얘기 나오면서 김기춘 비서실장이 결국은 책임지고 물러나야 되는 것 아니냐는 얘기 나오는데, 어떻게 생각하세요?
◆ 이혜훈> 저는 사실 우리 김기춘 실장님께서 여기에 정말 전적으로 모든 일을 좌지우지 하시는지, 그 부분도 잘 모르겠습니다.
◇ 김현정> 그분이 아닌 비선이 있을 수도 있다는 말씀이시군요?
◆ 이혜훈> 그런 뜻이라기보다는...
◇ 김현정> (문맥상) 그렇게 해석이 됩니다만...
◆ 이혜훈> 왜냐하면 우리 김기춘 실장님이 국회에 계실 때 제가 오랫동안 많이 봬왔고, 많이 얘기했고 잘 알고 있는데 저는 이 문창극 총리 후보자가 발표가 됐을 때 이렇게 국정운영경험이 직접경험, 간접경험이 없으시고 조직을 장악해 본 적이 없는 이런 분을 저는 김기춘 실장님이 내정했을 거라는 생각이 잘 안 들었습니다.
◇ 김현정> 알겠습니다. 오늘 여기까지 말씀 듣는 것으로 하죠, 고맙습니다.
◆ 이혜훈> 네, 감사합니다.
[김현정의 뉴스쇼 프로그램 홈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