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노컷뉴스

4대강사업 구미보 등 6개보 누수..보강대책 시급

통일/북한

    4대강사업 구미보 등 6개보 누수..보강대책 시급

     

    4대강 9 개 보에 대한 구조물 안전성을 조사한 결과 구미보.달성보.합천창녕보.창녕함안보.공주보.백제보 등 6곳에서 누수현상이 확인됐다.

    국무총리실 4대강사업조사평가위원회는 23일 세종문화회관에서 4대강 사업의 시설물 안전 및 사업효과 등에 대한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조사위는 16개 보 가운데 누수 가능성이 있는 9개 보를 수중 조사한 결과 구미보 등 6개 보의 하류측 물받이공에서 물이 새는 현상을 발견했다고 밝혔다.

    조사위는 또 보 본체에서 종.횡방향 균열 및 시공 이음부 누수 등이 관찰됐다고 설명했다. 누수는 보 상류의 물이 기초지반을 거쳐 나오는 것으로 추정됐다.

    특히 달성보, 합천창녕보의 제방은 물막이가 필요하고 제방의 안정성 확보를 위한 조사와 대책이 필요하다고 조사위는 밝혔다.

    조사위는 이들 6개 보를 상세 조사해 적합한 보강대책을 세워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 향후 유지관리가 부실할 경우 내구수명이 저하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둑 높이기 저수지는 총 110개 저수지 중 75개소를 조사한 결과 일부에서 방류수로 인한 옹벽 및 제방 측면 침식이 발견됐다.

    아울러 4대강 사업을 추진하면서 실제 준설이 계획한 준설량만큼 이뤄지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부에서는 준설토를 고수부지에 쌓아둬 홍수저감 효과가 떨어졌다는 평가다.

    조사위는 이와 함께 준설과 보의 영향으로 물 흐름이 늦어져 하천 퇴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조사위는 보와 준설에 의해 물이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것은 수질을 악화시키는 요인인 것으로 판단된다고 밝혔다.

    4대강 사업이 수질에 미친 영향을 평가한 결과 4대강 사업으로 한강과 낙동강, 금강은 대체로 BOD(생물화학적 산소요구량)와 식물플랑크톤이 감소했다.

    하지만 낙동강 상류지역 4개보 구간에서는 BOD가 증가했고 영산강은 식물플랑크톤이 늘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2013년 낙동강에서 녹조현상이 심해진 것도 강수량이 적고 물이 머무는 시간이 길어진 것이 주요 원인인 것으로 파악됐다.

    이밖에 생태공원을 조성하면서 농지를 없앤 것은 긍정적이나 획일적으로 조성한 결과 일부 습지생태계에 맞지 않은 식물을 심은 것으로 조사됐다.

    4대강 문화관광레저시설은 체계적인 시설도입이 이뤄지지 못해 시설의 이용률이 낮고 지역별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4대강사업조사평가위원회는 지난해 9월 국무총리 소속 민간위원회로 출범해 1년 4개월간 시설물 안전 등에 대해 조사를 벌여왔다.

    이 시각 주요뉴스


    실시간 랭킹 뉴스

    노컷영상

    노컷포토

    오늘의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