탑배너 닫기

전체메뉴보기

與 원내대표경선 친박 대 비박… 변수는 朴心



국회/정당

    與 원내대표경선 친박 대 비박… 변수는 朴心

    이주영 vs 유승민 양강구도될 듯

    왼쪽부터 이주영 의원과 유승민 의원 (자료사진)

     

    새누리당 원내대표직을 둘러싼 물밑경쟁이 연초부터 조기점화된 상황에서 당의 안정적 국정 뒷받침이 필요한 청와대의 처지와 맞물려 이번 경선에선 박심이 주요변수로 부상할 조짐이다.

    꾸준히 당내 의원들을 접촉하며 의지를 피력해 온 유승민 의원과 세월호 참사 수습 과정에서의 '헌신'을 인정받은 이주영 전 해양수산부 장관을 중심으로 벌써부터 '양강' 구도가 형성되는 모양새다.

    이주영 의원은 지난달 29일 오후 새누리당 의원총회에서 복귀 인사를 마친 뒤 바로 본회의에 참석해 의정 활동을 재개했다. 이 의원의 복귀를 곧 '출사표'로 해석하는 시각이 적지 않다.

    이 의원의 경우 해수부장관 재직 중 세월호 참사 수습 과정에서 쌓은 '헌신'의 이미지가 당내 표심을 모으는데 큰 역할을 할 것으로 보인다. 그는 앞선 원내대표 경선에서 고작 8표차로 패하면서 득표력도 검증했다.

    다만 이 의원이 원내대표에 당선될 경우, 당 대표와 원내대표 모두 PK(부산·경남)출신이어서 지역안배 원칙에 어긋난다는 지적도 있다.

    이 의원은 원내대표 경선 출마 의지를 묻는 질문에 "내가 답할 성질의 것이 아니다"라며 원내대표직에 관련한 질문에는 묵묵부답으로 일관해 왔지만, 당내 여론은 이 의원의 출마가 거의 확실하다는 것이 중론이다.

    한편 이 의원의 국회 복귀로 마음이 바빠진 건 유력 경쟁자인 유승민 의원이다. 유 의원은 김무성 대표가 제의한 사무총장직을 거절하고 원내대표 경선을 준비해 왔다.

    유 의원은 '원조 친박'이면서도 박근혜 대통령에게 쓴소리를 서슴지 않아 왔다는 평이다. 때문에 '비박계'와도 교감할 수 있다는 점에서 '표의 확장력'이 크다는 것이 강점이다. 유 의원은 지난 여름부터 당내 의원들과도 꾸준히 만남을 가지며 지지층을 넓히려 노력해 왔다.

    유 의원은 이날 CBS노컷뉴스와의 통화에서 "그간 당이 변화를 선도해나가는 능력이 부족했다고 생각한다. 원내대표가 된다면 당의 '개혁과 혁신'에 중점을 둘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결국 의원님들이 내가 당이 잘 되는데 역할을 할 사람인지, 또 총선을 앞두고 본인들에게도 도움이 될지 판단하시지 않겠나. 어려운 사람들에게 당이 가까이 가야한다는 소신을 갖고 일하겠다"고 힘주어 말했다.

    새누리당의 한 의원은 "막상막하"라며 두 사람의 양강구도를 인정하면서도, "두 사람이 아직까지 개인적·공적 기량을 겨룰만한 기회가 없지 않았나. 아직은 아무도 모르는 일"이라고 말했다.

    이런 가운데 원내대표 경선에 결국 '박심(朴心)'이 주요변수로 작용할 것이란 분석이 나오고 있다.

    집권 3년차에 접어든 박 대통령 입장에서는 안정적인 정국을 위해 여당 원내대표와의 '호흡'을 중요하게 생각할 수 밖에 없기 때문이다. 차기 원내대표는 당의 '얼굴'이자 내년 4월 총선 공천에서 큰 영향력을 끼칠 수 있는 비중있는 직책이다.

    지난달 23일 박근혜 대통령이 이 의원의 장관직 사퇴의사를 수용하면서 "어느 자리에 가서든 나라를 위해 더 큰 역할을 해주실 것을 기대한다"고 말한 것이 '박심'을 실어준 것이라는 해석도 나온다.

    하지만 유 의원을 지지하는 쪽에서는 "물러나는 장관에게 덕담을 해주기로 한 것일 뿐이라는 게 청와대 인사들의 설명"이라고 반박하기도 한다. 지난 연말부터 유례없이 강하게 결집하고 있는 친박계의 움직임은 경선구도와 관련해 눈여겨볼 대목이다.

    현재 이완구 새누리당 원내대표가 차기 총리후보로 유력하게 거론되고 있는 상황이라, 만일 이 원내대표의 내각 진출이 확실시된다면 경선이 앞당겨질 수도 있어, 앞으로 경선주자들 간의 경쟁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인다.

    또다른 새누리당 관계자는 "양강구도로 거론되고 있는 두 의원 외에도, 3선 이상의 의원들 중에서 원내대표직에 대한 의지를 피력하고 있는 분들이 있는 것으로 안다"며 또다른 주자들이 나설 가능성도 배제하지 않았다.

    이주영·유승민 의원을 비롯해 자천타천으로 심재철·원유철·정병국·유기준·진영·홍문종 의원 등도 차기 원내대표 후보군으로 오르내리고 있다.

    이 시각 주요뉴스


    Daum에서 노컷뉴스를 만나보세요!

    오늘의 기자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댓글

    투데이 핫포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