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청 전기자동차 충전기에서 충전하는 전기자동차들.(사진=김대휘 기자)
지난 1월 7일부터 전기자동차 르노삼성 SM3.Z.E.운전하기 시작했다. 현재까지 3,800㎞ 정도를 운행하고 있다. 매일 80㎞ 이상 거리를 출퇴근한다. 몇 시간 운전하는 시승경험으로는 알지 못하는 전기자동차의 장단점을 소개한다. [편집자주]
◇ 경험 1. 전기요금도 만만하지 않다
2월 전기차충전기 전기요금 청구액이 90,380원. 전력 사용량은 494 kWh.
1월 22일부터 2월 21일까지 달린 결과다. 1일 평균 80㎞ 출퇴근. 1월 7일 이후 현재까지 약 3,800㎞를 주행했다.
전기자동차를 구입할 때 아무리 많이 사용해도 한 달 5만원 미만이라는 설명을 고려할 때 큰 차이다.
정부와 지자체는 그동안 1일 60㎞ 주행을 할 때 전기요금이 1,000원 수준이라고 홍보했다. 연료비용(전기요금)이 휘발유 차량에 비해 많게는 절반정도 적어도 40% 수준이라는 설명이 생각난다.
2월 한달 전기차충전기 요금 고지서.
전기자동차는 충전 시간에 따라 전기요금에서 큰 차이를 보인다. 현재 전력량 요금은 심야전략 시간대 요금이 1kWh당 57.6원에서 80.7원 이지만 최대 부하 시간 요금은 232.5원으로 4배 이상 뛴다. 사업용 전력이라는 설명이 기본에 깔린다.
행정기관은 막연하게 휘발유 차량에 비해 저렴하다는 사실만 강조한다.
현재 정부와 지자체는 전기자동차 보급에는 행정력과 재정을 집중하고 있지만 전기자동차용 전기요금에 대한 정책적 지원에는 한계를 보이는 것이 현실이다.
전기자동차 보급을 더욱 확대하기 위해서는 시설투자에 집중하는 정책과 함께 실제 운영자들에게 필요한 전기요금 지원책을 만들어내는 정책개발도 필요하다.
◇ 경험 2. 전기자동차 부품 가격이?지난달 8일 잠시 주차 중이던 차량이 움직이지 않았다. '전기장치에 문제가 있다'는 빨간 표시불만 깜박이고 운전대가 꼼짝을 하지 않았다.
꿈에 부풀어 신차를 받고 1개월만의 고장. 그것도 전기자동차가.
일반 차량이었다면 '보닛' 이라도 열어 엔진에 어떤 문제가 있나 살펴보겠지만, 전기자동차는 대책이 전무했다. 서비스센터 직원을 불러 현장 수리도 하지 못한다. 결국 서비스센터에 접수하고 차량운반차로 견인됐다.
다음날 더욱 황당한 이야기를 들었다. 전기부품(인버터 전기모터)이 불량이라는 설명과 함께 부품 가격이 290만 원 정도라는 서비스센터 직원의 설명이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충전케이블 가격도 55만 원이다.
물론 전기장치와 관련된 차량 무료 서비스기간(5년)이기 때문에 수리비는 없었지만 서비스기간이 끝난 후 발생할 전기부품 교환비를 생각하면 벌써 걱정이다.
이에 대해 르노삼성 제주서비스센터 관계자는 "불량 부품을 교체했다"며 "현재의 전기자동차 각종 부품이 안정화되기 위해서는 시간이 필요한 것이 사실"이라고 말했다.
◇ 경험 3. 충전기 찾아 3만 리전기자동차 운전자가 가장 걱정하는 것은 충전시스템.
지난 1일 시내 주행을 하다 자동차 배터리가 부족한 사실을 뒤늦게 확인했다. 충전을 위해 동사무소를 찾았다. 제주 지역 내 읍면동사무소에는 전기자동차 충전기가 설치돼 있다.
전기자동차는 안정적인 전력 공급을 위해 에코운전을 권장한다.
하지만 어렵게 찾은 충전기 앞에는 이미 동사무소에서 운영하는 전기자동차가 충전도 하지 않으면서 주차공간을 차지해 있었다.
전기자동차는 1회 충전에 평균 130㎞ 정도의 주행거리를 확보한다.
그러나 매일 80㎞ 정도를 운전하는 입장에서 급한 일이나 100㎞ 이상 되는 거리를 이동하는 일에 운전이 망설여진다.
때문에 충전기 시스템을 대폭 확대하는 인프라구축이 시급하다.
제주도는 관광지에 전기충전기를 설치했다. 하지만 이용 빈도가 적은 것에 전시용으로 설치하다 보니 실제 이용자들은 충전기를 찾기에 어려움이 많다.
차라리 전기자동차가 자주 이용할 수 있도록 시내에 설치하는 것이 필요하다.
제주도는 2030년 모든 승용차를 전기자동차로 하겠다는 야심찬 계획을 발표했지만 이를 좀 더 현실화시키기 위해서는 전기자동차에 대한 지원과 함께 충전기 인프라를 대폭 확대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제주도 관계자는 "조만간 충전기 설치 계획을 마련해 발표할 예정"이라며 "충전 인프라구축의 필요성을 고려해 준비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전기자동차 운전자의 또 하나 고민은 배터리 수명이다. 전기자동차 출시 업체는 배터리 보증기간을 강조한다. 르노삼성은 5년 내 10㎞를 보증기간으로 제시한다.
제주도는 전기자동차 운전자 단독주택에 충전기설치를 지원한다.
그러나 자동차 평균 수명인 15년을 고려할 때 배터리 보증기간(업체마다 5년 10만㎞에서 8년 16만㎞)으로는 소비자를 설득시키기 어렵다. 배터리 추가 구입비가 수백만 원에서 1천만 원에 이를 것이라는 우려가 높기 때문이다.
불안한 배터리에 충전기를 쉽게 찾을 수 없는 현실. 인간에게 이동의 자유를 선물한 자동차의 기능을 스스로 제약하는 치명적 약점을 해결해야 한다.
하지만 2개월 주행한 현재 만족도를 100점 만점으로 묻는다면 80점이다.
◇ 제주도 올해도 전기자동차 1,515대 보급제주도는 올해도 전기자동차 1,515대를 보급한다. 전기자동차에 대한 제주도민들의 관심은 폭발적이다.
지난해 전기자동차 보급 경쟁률이 우선보급대상자까지 포함해 평균 7.3:1(일반보급 대상 경쟁률 10.6:1)을 기록했다. 올해 보급량을 크게 늘렸지만 경쟁은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올해 보급되는 차종은 더욱 다양하다. 기아자동차의 레이·쏘울, 르노삼성의 SM3.Z.E, 한국GM의 스파크, BMW의 i3, 닛산의 LEAF를 비롯해 신규로 파워프라자의 화물전기차(0.5톤) 라보 PEACE 차량 등 모두 7종(승용 6종, 화물 1종)이다.
차량 가격은 최대 6천 4백만 원에서 3천 5백만 원까지 다양하다. 제주도에서는 2천 2백만 원의 보조금을 지원한다. (파워프라자는 1천 7백만 원)
제주도는 전기자동차 충전기 설치비도 지원한다. 1개당 약 6백만 원 정도다. 올해부터는 충전기 설비가 어려운 신청자를 고려해 이동형충전기도 보급한다.
접수는 3월 6일부터 20일까지다. 또 하반기 출시 예정인 1톤 전기화물차(5대)를 제외한 1,483대를 상반기에 집중 보급할 계획이다.
신청 자격은 공고일 전일 등록된 제주도민(도내 기업 등)으로, 1세대(기업)당 1대 기준으로 보급된다.
또 전기버스, 전기택시, 전기렌터가 등 사업용 차량에 대해서는 산업통상자원부 국책과제인 배터리 리스 사업을 통해 보급할 계획으로, 이번 민간보급에는 포함되지 않았다.